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im-1-lander.jpg (512.8KB)
- 107377435-1708694271707-Moon-landing.jpg (554.1KB)
달 탐사는 역시 정부주도의 프로젝트였습니다. 그러나 이것도 2024년 2월 22일 23시 23분(UTC)을 기해 과거형이 되었습니다. 2013년에 설립된 미국의 우주탐사기업 인튜이티브 머신즈(Intuitive Machines)가 주도한 달탐사선 IM-1 오디세우스(Odysseus)가 민간주도의 첫 달착륙을 이루어낸 이후 새로운 시대가 열린 것입니다. 그 IM-1은 2024년 2월 15일에 지구를 떠난 뒤에 그 달의 마지막 날인 2월 29일의 교신을 끝으로 임무를 마쳤습니다만, 1972년에 아폴로 17호가 마지막으로 월면에 연착륙한 이후로 52년 뒤에 다시 미국이 이루어낸 쾌거임은 부정할 수 없겠습니다.
이미지 출처
NASA Sets Coverage of First US Uncrewed Commercial Moon Landing (2024년 2월 20일 NASA, 영어)
IM-1 오디세우스에는 미 항공우주국(NASA)을 비롯한 다른 고객사가 제작한 것들도 같이 실려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지구와 달 사이의 수송도 민간기업으로 수행가능한지를 검증하는 수단으로서의 역할수행 검증의 성격도 매우 강한데다 제작에 기여한 업체 중 스포츠웨어 브랜드인 컬럼비아(Columbia)의 로고가 인튜이티브 머신즈의 상호와 성조기 및 미 항공우주국 엠블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도 눈길을 끕니다. 이 덕분에 컬럼비아는 세계에 다시없는 우주급의 광고로도 유명해졌습니다.
이미지 출처
Intuitive Machines lands on the moon in historic first for a U.S. company (2024년 2월 22일 CNBC, 영어)
스페이스X의 팰콘9 로켓으로 발사되어 케네디 우주센터를 떠난지 7일만에 달에 도착한 이 IM-1 오디세우스는 2024년 2월을 못 넘기고 교신이 끝나 있는 상태이지만 2023년 4월 26일에 최종단계에서 연착륙에 실패한 일본 아이스페이스(ispace)의 하쿠토(HAKUTO)-R보다 한발 앞서 연착륙에 성공했습니다(세계최초의 민간 달탐사선의 달착륙 그리고 앞으로 참조). 이런 점에서 시작이 늦더라도 어느새 높은 수준으로 발달해 있는 미국의 우주개발역량을 다시 실감하고 있습니다.
Founder and Owner of Polyphonic World
목록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2024-09-06 | 168 | |
공지 |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
2024-03-28 | 172 | |
공지 |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
2024-03-05 | 189 | |
공지 |
2023년 국내외 주요 사건을 돌아볼까요? 작성중10 |
2023-12-30 | 360 | |
공지 |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612 |
2020-02-20 | 3863 | |
공지 |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2
|
2018-07-02 | 1001 | |
공지 |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2 |
2013-08-14 | 5973 | |
공지 |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
2013-07-08 | 6594 | |
공지 |
오류보고 접수창구107 |
2013-02-25 | 12088 | |
5635 |
일본의 반도체 타력본원(他力本願)을 비웃을 수 있을까10
|
2024-03-26 | 173 | |
5634 |
적성국 러시아에 대해서도 발휘되는 미국의 품격5 |
2024-03-25 | 164 | |
5633 |
여러가지 이야기들6 |
2024-03-24 | 171 | |
5632 |
유인우주비행의 경쟁체제를 여는 보잉 스타라이너4
|
2024-03-23 | 123 | |
5631 |
여러 현안의 의외의 접점 - 10. 거대권력 타도투쟁과 매국노 발언2 |
2024-03-22 | 120 | |
5630 |
신변 이야기 조금.2 |
2024-03-21 | 124 | |
5629 |
퇴원 후 해빙기에 느껴보는 만족감2 |
2024-03-20 | 123 | |
5628 |
러시아에서는 대통령이 국민을 선출합니다!!4
|
2024-03-19 | 158 | |
5627 |
동경했던 레이서 시노즈카 켄지로(篠塚建次郎)의 영면6
|
2024-03-18 | 210 | |
5626 |
"엘살바도르" 와 "레미제라블" 이 잘못 발음되는 이유2 |
2024-03-17 | 113 | |
5625 |
호쿠리쿠신칸센(北陸新幹線), 카나자와-츠루가 연신개업2
|
2024-03-16 | 120 | |
5624 |
"창바이산" 에는 항의하는 목소리도 안 나올 듯합니다2 |
2024-03-15 | 115 | |
5623 |
"이런 상황이라면 어떻게 말할까" 를 늘 생각합니다2 |
2024-03-14 | 143 | |
5622 |
건강상태에는 기복이 있기 마련이죠2 |
2024-03-13 | 116 | |
5621 |
여러가지 이야기들12 |
2024-03-12 | 181 | |
5620 |
근주자적(近朱者赤)과 색깔론4 |
2024-03-12 | 121 | |
5619 |
꿈의 빈도는 낮아졌지만 내용은 기괴해지네요2 |
2024-03-11 | 119 | |
5618 |
민간주도의 첫 달착륙도 미국이 이루었다2
|
2024-03-10 | 123 | |
5617 |
[속보] "드래곤볼"의 작가 토리야마 아키라 사망8 |
2024-03-09 | 204 | |
5616 |
10년 전 오늘, 말레이시아항공의 비극은 시작되었다 |
2024-03-08 | 124 |
2 댓글
Lester
2024-03-11 03:42:38
오디세우스는 트로이 전쟁과 오디세이아라는 파란만장한 일생으로도 유명하죠. 그렇기에 다사다난했지만 끝끝내 달에 도착하고, 어쩌면 달은 이제 시작이고 (아주 먼 미래에) 다른 행성들도 하나씩 거쳐가지 않을까 합니다. 과거에 태양계의 끝이었던 명왕성의 번호가 134340인데, 이 번호를 넘기 전에 어디까지 가는지 기대되기도 하네요.
미국의 우주개발역량이 뭐 하늘에서 뚝 떨어진 것은 아니고, 역시 기초학문의 승리다 싶네요. 대충 2차대전 종전과 냉전을 계기로 수많은 과학자들이 미국으로 건너가서 밑거름이 됐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것도 그렇지만 '공부하세요! 말리지 않아요!'와 '일하세요! 돈이 된다면!'과 '투자할게요! 돈이 되니까!'처럼 분야에 대한 차별이 없어서가 아닐까 싶기도 해요.
보통 공부부터 시작해서 대부분의 "좋아서 하는 일"은 시키지 않아도 알아서 잘 하기 마련인데,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북아시아는 공동체주의의 영향인지는 몰라도 꼭 '시켜야 하는 것이니 시키는 존재가 있어야 한다'는 전제를 깔아두는 것 같아요. 어느 의미로는 '나 없이 할 수나 있겠냐' 같은 오만도 느껴지고요. 이런 권위의식이 학문은 물론이고 사회의 발전을 저해하는 건 아닐지...
SiteOwner
2024-03-12 00:20:46
이렇게 아직 초창기이긴 하지만 마일스톤을 하나하나 지나쳐 오는 이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들은 이 발전상과 함께 사는 운 좋은 세대일지도 모릅니다. 물론 우주개발이 마스터키인 것도 아니고 산적한 과제도 많습니다만, 어느 한 분야라도 이렇게 지구 내의 차원을 벗어날 수 있다는 그 자체만으로도 희망의 여지는 충분히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미국의 이번 쾌거는 기초학문과 자본력의 승리입니다.
그나마 일본이나 대만은 좀 열려 있는 편이고 일본은 기초과학 및 원천기술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데다 대만은 반도체의 설계제조 및 컴퓨터기자재의 대량생산체제에 특화되어 있는 등 독보적인 강점이 있는데다 이미 20세기 후반부터 영어식 이름도 통명으로 잘 쓰는 등 개방적인 면모를 보이기도 합니다만 우리나라나 싱가포르의 경우는 문제가 많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연구개발투자액의 국내총생산 대비가 세계 최정상레벨이지만 그만큼 눈먼 돈 문제도 많은데다 각종 프로젝트의 국가의 만기친람 기조가 범람하고 민간은 민간대로 편법과 탈법에 의존하는 문제점을 많이 노정한다든지, 싱가포르는 공공분야의 청렴성 및 치안유지는 세계최강이기는 하지만 자유로운 연구가 불가능하고 창의성 또한 기대할 수 없는 한계를 보이는 등의 문제점도 있습니다. 그러고 보니 우리나라도 싱가포르도 노벨상의 과학분야에서 수상자가 없는 것도 동일하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