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20210510at01S_p.jpg (18.8KB)
일본의 학교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 중의 하나가 교복의 젠더리스화. 즉 성별구분의 완화입니다.
국내에서는 남녀공학의 경우 교복이 성별에 따라서 형태가 다를 뿐 남학생용이든 여학생용이든 기본적으로 배색이 비슷한 경우가 많습니다만, 일본의 경우는 아예 완전히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즉 한 학교 안에서도 남학생은 검은색 가쿠란에 여학생은 물빛색 바탕에 흰 줄무늬가 든 세일러복이고 거기에 학년별로 스카프가 다르다든지.
그런데 일본에서도 교복디자인이 변하고 있습니다.
특히 주목할만한 것이 바로 처음에 말했던 젠더리스 교복.
사진출처
(남학생 스커트, 보급은 아직? 확대되는 젠더리스교복...식자층은 "선택지를 늘려라" 2021년 5월 10일 지지통신, 일본어)
이 사진에 등장하는 교복은 오카야마시 소재의 학생복 메이커인 톰보(トンボ)의 것으로, 사진 오른쪽의 것처럼 하의가 슬랙스로 된 여학생교복인 것이 특징입니다. 저렇게 여학생도 바지를 입을 수 있게 된 것은 대략 2015년부터의 일로, 일본내에서 1천개 이상의 학교에서 채택되었습니다. 일본의 중학교 및 고등학교의 수가 15,000개 정도라서 아직 비율로 볼 때 일단 여학생교복의 바지는 소수이긴 합니다만 나름대로 성공을 거둔 것 같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남학생교복입니다.
남학생교복의 선택지는 여전히 하나. 그리고 남학생교복의 하의로 스커트를 도입한다고 하더라도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여학생교복 하의로서 바지를 선택가능하게 한 정책상의 이유에 "성동일성장애(性同一性障害)" 를 가진 학생에의 배려가 있다 보니 그렇습니다. 여성의 바지착용이 급진적으로 여겨졌던 19세기 전반도 아니고, 현대에는 여성이 바지를 입는다고 그걸 의문시하는 시각은 최소한 주요국가에서는 없으니 문제될 건 없으니까요. 그러나 남성의 치마착용은? 여기서 문제가 일어납니다.
성소수자 단체에서는 반발하고 있습니다. 성정체성의 커밍아웃을 강제당한다는 역효과가 날 건 뻔합니다. 실체없는 성정체성으로도 난리가 나는데, 실체있는 사물이자 바로 눈에 보이는 의복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그래서, 선결과제가 몇가지 생겨납니다.
배려의 취지는 좋지만 그 취지의 결과까지 좋을 수 있는가, 누구나 만족할 답안은 존재하는가, 만일 존재하지 않는다면 특정인의 권리를 뺏거나 침해하는 방식으로 가야 하는가, 보고도 못 본척 할것인가, 아니면 "사회가 바뀌어야 한다" 라는 결론적인 대안부재로 귀결되는가 등. 그리고 어느 하나 제대로 답할 수 있을 것 같지도 않습니다.
Founder and Owner of Polyphonic World
2 댓글
Lester
2021-05-14 02:41:43
꼭 의도는 좋은데 시대의 흐름을 못 보는 것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남학생에게 치마를 권하는 건 진짜 여러가지 의미로 충격적이겠네요. 말씀하셨듯이 성 정체성을 커밍아웃당하는 것도 있고, 커밍아웃과는 별개로 사회적으로 남자가 치마를 입는 것 자체를 이상하게 보는 시각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사회초년생'에게 엄청난 사회적 압박을 주는 건 아닌가 싶습니다. 뭔가 막 "쟤 그 학교 다닐 때 치마 입었던 애 맞지?" 하고 낙인을 찍어버리는 것 같기도 하고요.
그냥 간단하게 '여학생에게도 바지를 허용한다'라고 하면 되는 걸, 무슨 젠더리스니 남학생에게 치마니 하고 이상하게 평등을 갖다붙이는 것 같아서 좀 꺼림칙합니다.
SiteOwner
2021-05-14 20:32:27
이번의 젠더리스 교복의 문제는, 역시 취지와 결과의 괴리가 크게 예상되는데도 모종의 도그마에 사로잡혀 있는 것 같습니다. 정말 다른 건 알고도 생각하지 않는 건가 싶을 정도입니다.
위의 기사에는 효고현 히메지시의 시립 산요중학교의 교장 하세가와 타카히사(長谷川貴久)의 발언과 교복 제조사 톰보의 디자이너 오쿠노 아유미(奥野あゆみ)의발언이 인용되어 있는데, 자기 생각밖에 안한다는 게 드러납니다. 하세가와의 발언은, "학교는 사회의 축소판. 시대나 환경의 변화를 따라 남녀구분 없이 입을 수 있는 교복을 생각했다" 인데, 그의 발언은 그럼에도 많은 여학생들이 스커트를 선택한 이유를 설명하지 못합니다. 그 발언 자체로도 문제가 있는 것이, 학교는 기본적으로 사회화의 제도적 수단이다 보니 사회풍조가 학교에 영향을 끼치는 것이 더 빠르고, 학교에서 시작한 풍조가 사회로 확산되려면 시간이 더 걸린다는 점을 생각하면 본말전도입니다. 오쿠노의 발언도 문제가 있습니다. 사실 디자이너는 주문을 받아서 고객에 납품할 제품에만 신경쓰면 되는 것입니다. 주문이 있다면 대응할 수도 있고 성소수자를 버려둘 수도 없다는 건 과연 진정한 배려인 것인지...
전파교사의 캐릭터 아라키 코타로(이미지 바로가기)처럼 성동일성장애가 있으면서 학교에서도 가정에서도 그의 사정을 전적으로 이해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위의 하세가와나 오쿠노같은 사람들의 발언은 전제 자체가 충족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