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루종일 가슴통증에 시달렸다가 이제 겨우 해소되었어요.
날씨가 추워지면 발생하기 쉽다는 그런 증상은 아니고 가슴 자체의 무게로 인해서 발생하기 쉬운 문제라서 익숙하긴 하지만 그래도 반갑지는 않네요. 바른 자세를 유지해 왔다고 생각해 왔는데 거울을 보니 묘하게 균형이 안 맞는 것 같아서 다시 자세를 고쳐보니 통증이 많이 완화되었어요. 내일부터는 상황이 나아지겠죠.
그리고 여러 생각.
역시 폴리포닉 월드가 현실세계에 대한 궤도수정의 성격이 강하다는 게 많이 느껴지네요.
6개월도 더 전에 썼던 글인 미국의 대외정책에서 발생했던 오류에 대한 평가에서 지적된 것들의 대가는 당분간 세계가 치를 것이고 대부분은 서방세계의 몫이겠죠. 그리고 반서방주의를 표방하는 불량국가들은 지지 않을 것이고. 과연 그게 얼마나 갈지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확실히 말할 수 있는 부분이 있어요. 인간의 이성은 분명 굉장한 것이지만 과신할 것도 못되니 늘 조심해야 한다는 생각이 드네요.
대학 신입생 때가 생각나기도 하네요.
신입생 모임에서 음악 관련 이야기가 나온 적이 있었어요.
옛날 음악도 좋아한다는 이야기를 하니 다른 사람들은 그 시대를 대략 1970년대나 1980년대 정도로 생각하는가 봐요. 물론 그 시대의 것도 좋아하지만 저는 14세기의 폴리포닉 서양음악이라든지 그 이전의 것도 좋아하는 터라 그 이야기를 하기도 했어요. 그들이 상상의 범위를 뛰어넘는 답변을 들어서 그런지 당황했던 것도 지금도 잘 기억나고 있어요.
그러면 노래 하나를 소개해 볼께요.
어제 어떤 방송에서 나왔는데 인상이 선명하게 남아서 바로 듣고 가사를 기억해서 찾아낸 노래로, 1961년에 미국의 가수 보비 비(Bobby Vee, 1943-2016)가 발표한 One Last Kiss.
Co-founder and administrator of Polyphonic World
목록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2024-09-06 | 283 | |
공지 |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
2024-03-28 | 197 | |
공지 |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
2024-03-05 | 225 | |
공지 |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613
|
2020-02-20 | 3891 | |
공지 |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2
|
2018-07-02 | 1024 | |
공지 |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2 |
2013-08-14 | 6015 | |
공지 |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
2013-07-08 | 6626 | |
공지 |
오류보고 접수창구107 |
2013-02-25 | 12130 | |
5509 |
인간으로서의 예의조차 상실하면 그건... |
2023-10-31 | 115 | |
5508 |
현재의 컴퓨터와 과거의 수퍼컴퓨터의 성능비교2 |
2023-10-30 | 120 | |
5507 |
대참사에 대해 사회적인 집단난독증이 의심되고 있어요2 |
2023-10-29 | 120 | |
5506 |
쥐의 수정란은 우주공간에서도 정상적으로 자란다
|
2023-10-28 | 122 | |
5505 |
퇴직후 재취업자에 대한 국민연금 감액제도, 폐지된다2 |
2023-10-27 | 125 | |
5504 |
예전에 인연이 있었던 사람이 꿈에 보일 때 |
2023-10-26 | 112 | |
5503 |
4년 전 탈북어민의 행적을 꿰뚫어봤던 그들은 어디에? |
2023-10-25 | 115 | |
5502 |
사별한 아내의 이름은 남편이 대학에 남겼다
|
2023-10-24 | 122 | |
5501 |
"꼰대" 가 되지 않도록 지킬 것 하나2 |
2023-10-23 | 147 | |
5500 |
진보주의의 덫 1. 이성에 대한 과신(過信)2 |
2023-10-22 | 158 | |
5499 |
일본발 자원입국, 이번에는 금과 은4
|
2023-10-21 | 171 | |
5498 |
여러가지.4 |
2023-10-20 | 138 | |
5497 |
비오는 밤중에 간단히 쓰는 전쟁에 대한 이야기 |
2023-10-19 | 120 | |
5496 |
덕질의 대가는 무엇인가3
|
2023-10-18 | 134 | |
5495 |
가슴통증에 시달렸던 하루 그리고 여러 생각2 |
2023-10-18 | 125 | |
5494 |
다람쥐는 독버섯을 먹어도 문제없다!!2
|
2023-10-17 | 133 | |
5493 |
검열 선호가 어쩌면 국민성이 아닐까 싶네요5 |
2023-10-16 | 164 | |
5492 |
쓰던 글이 있었지만 잠시 보류하고 있어요2 |
2023-10-15 | 119 | |
5491 |
니이가타시(新潟市) 앞바다에 돌연 나타난 잠수함2
|
2023-10-14 | 127 | |
5490 |
테러리스트를 옹호하는 대학생들의 신념의 수준2 |
2023-10-13 | 131 |
2 댓글
대왕고래
2023-10-18 22:15:29
어디가 아프면 일단 병원을 가라고 하죠, 뭐든 해결책을 준다고... 겪으신 통증은 잘 모르겠네요.
일반적으로 옛날이라고 하면 엄청 많이 옛날을 떠올리는 사람은 없죠. 특히 음악에서는 더더욱. 아예 클래식을 듣는다고 하면 그렇구나 하고 대충 넘어가지만요.
곡은 지금 듣고 있어요. 무지 좋네요.
마드리갈
2023-10-18 22:36:26
아무래도 이건 체형상 발생하기 쉬운 것이라서 조심해야 하죠. 지금은 많이 좋아졌어요.
제가 생각의 범위가 비상히 넓은 것도 있고, 대왕고래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일반적으로 시대의 상정범위 자체가 그렇게 넓지도 않고, 그러다 보니 그런 일도 일어날 수 있었구나 하는 게 납득되어요. 사실 클래식이라고 해도 시대별로 작곡가별로 특징이 뚜렷하다 보니 그냥 그 분류로 일반화하기는 힘들지만요.
소개해 주신 곡에 대한 좋은 평가에 감사드려요.
역시 한번에 잡아끄는 매력이 있는 명곡이라고 칭송하지 않을 수가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