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8518326751_0757ca9b9a_b.jpg (292.7KB)
- KA260_ExteriorC2.jpg (49.7KB)
- Screenshot 2022-12-29 at 21-38-51 Arianespace gallery Archive - Arianespace.png (1.39MB)
- 30999320066_16f45cb238_b.jpg (91.2KB)
- isim2.jpg (158.3KB)
- ISIM_Overview.jpg (172.3KB)
- 37988427785_ff90af3a44_b.jpg (268.2KB)
- ote1.jpg (137.2KB)
- jwst_front_view.jpg (99.1KB)
- jwst_back_view.jpg (122.9KB)
이번에는 2022년 세계 과학계의 최고의 역작인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에 대해서 개략적인 정보를 보겠습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ames Webb Space Telescope)은 미 항공우주국(NASA)-유럽우주국(ESA)-캐나다우주국(CSA) 3자합동주관으로 제작된 우주망원경으로 제작은 미국의 우주항공기업인 노스롭 그루먼(Northrop Grumman)-볼 에어로스페이스(Ball Aerospace)-L3해리스(L3Harris) 컨소시엄이 제작한 것입니다. 이것은 2021년 12월 25일에 아리안 5 로켓에 탑재된 채 지구를 떠나 6개월간의 여정 끝에 태양과 지구 사이의 라그랑쥬 포인트 L2 궤도에 안착했습니다. 지구와 L2 사이의 거리는 1,500,000km 정도인데다 이 궤도의 지름은 최소 250,000km 및 최대 832,000km 수준으로 지구와의 교신에 수초간의 딜레이가 당연히 생기기 마련인 장거리입니다.
이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2022년 7월 12일부터 취역했습니다.
임무수행은 대략 10년 정도로 기대되고 있고 망원경 자체의 수명은 20년 정도로 판단되고 있지만 정확한 것은 아직 알 수 없습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현재 우주에 전개된 상태로 그것의 모습 자체는 현재 볼 수 없지만, 실제 사이즈로 만들어진 모형은 지구상에 전시중이니까 그것을 보면 됩니다. 모형 바로 앞에 모인 사람들과 대조했을 때 그 크기를 충분히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질량은 13,584파운드(=6,161kg). 어지간한 경비행기의 질량은 가볍게 넘어갑니다. 미국 연방항공국(FAA)의 정의상 경비행기는 이륙최대중량 12,500파운드(=5,670kg)이고 그것을 만족하는 항공기는 미국의 비치크래프트 킹에어 260 같은 것이 있습니다. 아래의 사진에서 소개하는 바로 이것입니다.

이미지 출처
King Air 260 (영어)
이 정도의 경비행기를 띄우는 데에는 850마력의 프랫&휘트니 캐나다 PT6A-52 엔진 2개면 충분하겨 연료도 2,059리터면 충분합니다. 하지만 이것보다 더 무거운 저 망원경을 우주공간에 보내려면 그 정도의 힘으로는 어림도 없습니다. 역시 강력한 로켓이 아니면 안되겠지요.
작년 크리스마스 때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적재된 총중량 777톤의 아리안 5 로켓은 프랑스령 기아나의 기아나 우주센터를 떠났습니다. 바로 이렇게.

이미지 출처
적재되기 전에 조립이 완료된 모습입니다.

이미지 출처
이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탑재하는 장비는 이러합니다.
통합과학기기모듈(Integrated Science Instrument Module, ISIM)이라고 불리는 것은 내부의 핵심.
상세사항은 이러합니다.

이미지 출처
NIRCam은 근적외선카메라(Near-Infrared Camera)의 약칭으로 미국 애리조나대학에서 제공된 것입니다.
NIRSpec은 근적외선분광기(Near-Infrared Spectrograph)의 약칭으로 유럽우주국에서 제공된 것입니다. 이것의 제작부품은 미 항공우주국 산하의 고다드 우주비행센터(Goddard Space Flight Center)에서 제공되었습니다.
MIRI는 중적외선장비(Mid-Infrared Instrument)약칭으로 유럽컨소시엄, 유럽우주국 및 미 항공우주국 제트추진연구소(Jet Propulsion Laboratory)에서 제공된 것입니다.
FGS는 정밀유도센서(Fine Guidance Sensor)의 약칭으로 근적외선 이미지장치 및 슬릿 미탑재형 분광기(Near InfraRed Imager and Slitless Spectrograph)와 일체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캐나다우주국에서 제공되었습니다.
ISIM은 이렇게 탑재됩니다.

이미지 출처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상징적인 광학망원경요소(Optical Telescope Element)는 이렇습니다.

이미지 출처
이것은 18개의 6각형 모듈을 조합해서 만든 반지름 6.5m의 거대한 제1거울, 반지름 0.74m의 제2거울로 되어 있고 그렇게 모인 빛은 후방 광학부속시스템에 있는 제3거울 및 정밀조종거울로 들어가서 이미지로 남겨집니다. 저것들의 자세한 구조는 아래의 모식도를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미지 출처
이렇게 완성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놀라운 이미지들을 촬영하여 지구로 전송중입니다.
이것들에 대한 소개는 2023년부터 하겠습니다.
Founder and Owner of Polyphonic World
목록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교환학생 프로젝트를 구상 중입니다. (250326 소개글 추가)6
|
2025-03-02 | 187 | |
공지 |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2024-09-06 | 358 | |
공지 |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
2024-03-28 | 214 | |
공지 |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
2024-03-05 | 243 | |
공지 |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616
|
2020-02-20 | 3942 | |
공지 |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2
|
2018-07-02 | 1057 | |
공지 |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2 |
2013-08-14 | 6039 | |
공지 |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
2013-07-08 | 6650 | |
공지 |
오류보고 접수창구107 |
2013-02-25 | 12165 | |
6051 |
폴리포닉 월드 프로젝트 13주년1
|
2025-04-27 | 9 | |
6050 |
중국의 서해 구조물에 대한 침묵의 카르텔1
|
2025-04-26 | 13 | |
6049 |
개를 좋아하는 사람, 개가 좋아하는 사람
|
2025-04-25 | 17 | |
6048 |
중국의 전기차 제조사 BYD의 수평대향엔진 실용화
|
2025-04-24 | 21 | |
6047 |
"온스당 달러" 는 왜 단속하지 않을까4
|
2025-04-23 | 68 | |
6046 |
파킨슨병 치료가 실용화단계까지 근접
|
2025-04-22 | 27 | |
6045 |
결제수단에 대해 여행중에 느낀 것4
|
2025-04-21 | 43 | |
6044 |
생각해 보면 겪었던 큰 일이 꽤 오래전의 일이었네요
|
2025-04-20 | 29 | |
6043 |
오늘 쓸 글의 주제는 정해지 못한 채로...
|
2025-04-19 | 35 | |
6042 |
이제는 증기기관차도 디지탈제어시대2
|
2025-04-18 | 64 | |
6041 |
이유를 말못하는 개혁과 시장을 이긴다는 망상
|
2025-04-17 | 36 | |
6040 |
판소리풍 화법의 기사를 쓰면 행복할까2
|
2025-04-16 | 43 | |
6039 |
자칭 통일운동가들은 김일성 생일은 잊어버렸는지...2
|
2025-04-15 | 47 | |
6038 |
<죠죠의 기묘한 모험> 7부 <스틸 볼 런>의 애니메이션 제작이 확정7
|
2025-04-14 | 129 | |
6037 |
엑스포 이야기 약간.4
|
2025-04-13 | 90 | |
6036 |
미국의 제조업 천시 마인드는 여전합니다3
|
2025-04-12 | 62 | |
6035 |
트럼프라면 중국에 대해 1000% 관세율을 적용할 듯?7
|
2025-04-11 | 71 | |
6034 |
NHK에서도 애니에 출연하는 성우들이 자주 나오네요
|
2025-04-10 | 45 | |
6033 |
이번주의 피로가 지난 수년간보다 더 크게 느껴지네요2
|
2025-04-09 | 54 | |
6032 |
"자칭 히로스에 료코 용의자 체포" 의 충격2
|
2025-04-08 | 56 |
2 댓글
마키
2022-12-31 16:15:21
https://webbtelescope.org/resource-gallery/images
7월달 경에 NASA에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성운이나 은하 사진을 공식 배포했었죠.
최첨단 기술력의 상징 답게 공개된 사진들은 하나같이 화질이 정말 끝내주는 수준이었는데요, 가령 용골자리 성운(Carina Nebula)의 사진은 원본 해상도가 무려 '14575 X 8441' 라는 무시무시한 해상도... 이런 사진들을 그저 "우리 망원경이 일하고 있어요!" 라는 의미로 뿌려버리는 NASA의 배포도 굉장했죠.
SiteOwner
2022-12-31 20:27:24
소개해 주신 웹사이트에 게재된 사진을 보고 있으니 우주는 아름다움의 알파이자 오메가라는 것을 실감하고 있습니다. 이런 것을 볼 수 있어서 정말 좋습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이 시대의 축복입니다. 기술의 발전이라는 게 이렇게 좋습니다.
게다가 허블 우주망원경과의 대조도 있습니다.
특히 이것(바로가기/영어). 왼쪽이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획득한 것이고 오른쪽이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으로 획득한 것입니다. 어릴 때부터 TV 광고에서 봤던 표현인 화질이 다르면 그 감동도 다르다는 취지의 것이 이런 것인가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