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to content
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준대국어사전이 갱신된 이야기

대왕고래, 2023-05-22 18:11:03

조회 수
145

"지금 상황을 보다 보면 앞으로 어떻게 될지 '각'이 보인다."

"어제 돼지꿈을 꿨으니 오늘 산 로또는 반드시 당첨될 '각'이다."

이런 식으로 쓰이는 '각'이라는 유행어가 있습니다.

흔히 '~할 것이라고 예상됨'하는 의미로 쓰이는 단어죠.


제가 어릴 적에는 이런 단어가 없다가, 제 기억에는 10년 전, 제가 대학 다니는 시절에 주로 쓰이기 시작했어요.

지금은 그냥 시도때도 없이 입에 배어버린 단어가 되었죠.

그래도 저는 이게 그냥 일종의 비속어, 유행어 수준이라고 생각했었는데, 그것도 전국민이 쓰게 되면 상황이 달라지나봐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위의 표준국어대사전 사이트에서 "각"을 검색했을 때, 각의 2번 의미에 달린 부속 의미들 중에 이런 게 생겼어요.


각02.PNG각02-4.PNG


흔하게 쓰이는 그 '각'의 의미가, '각도'를 의미하는 각(角)에 새롭게 갱신이 되었어요.

민중에서 흔하게 쓰이던 일종의 유행어가, 이젠 유행어 수준을 넘어서서 새로운 표준어로서 인정이 된 거네요.


생각해보면 당연하긴 하네요, 표준어는 일종의 법처럼 지켜야하는 법도라기보단, 민중의 어휘를 반영한 말 그대로 '한국어'를 의미하는 것이니까요.

그래도 이렇게 민중들이 쓰는 유행어가 표준어로서 새롭게 갱신되는 모습을 직접 보게 되니까, 정말 생소하고 신기하긴 하네요.

대왕고래

저는 대왕고래입니다. 대왕고래는 거대한 몸으로 5대양을 자유롭게 헤엄칩니다.

대왕고래는 그 어떤 생물과 견주어도 거대하다고 합니다.

3 댓글

마드리갈

2023-05-22 23:05:00

이런 식으로 반영이 되기도 하네요.

역시 종이책 형태의 사전에서는 불가능한 게 온라인 플랫폼이니까 이렇게 유연하게 대응되기도 하고, 이런 점은 좋네요. 다른 언어의 사전에서 잘 보이는 속어의 정의 같은 것도 포함된 게 이제 한국어의 사전에서도 반영되니...


역시 편리하게 바뀌네요. 그나저나 사이시옷 문제는 이렇게 유연하게 대응하면 안되는 건가를 물어보고 싶기도 하네요. 게다가 요즘 언론에서 범람하는 사이시옷 어휘를 검색해 보면 나오지도 않네요. 재룟값이라든지 매맷값이라든지 한웃값이라든지 등의...

Lester

2023-05-22 23:10:48

외국 사전에서도 (비정상회담에서 소개되기로는) photobomb(남의 사진에 끼어들기)이나 facepalm(얼굴을 손에 파묻기, 일명 좌절 동작)이라거나 하는 신조어들을 추가했던 것을 보면 언어의 사회성은 온전히 무시할 수 없겠죠. 이번에 '마약xx' 하는 식으로 음식에 쓰이던 마약 표현이 금지된 것도 그렇고.

하지만 한편으론 마드리갈님의 지적대로 이런 언어 정책에 대해서 일관성이 없는 것 같기도 합니다. 사실 인터넷 기사만 찾아다니면서 과도한 신조어나 의도적으로 모호한 표현 등에 대해서 시정명령을 내려도 어지간한 문제는 해결될 것 같은데, 막상 그런 데에서는 일을 안 하니 원...

SiteOwner

2023-05-23 22:52:04

이미 1990년대에도 각잡는다 등등의 말은 많이 있었는데 주로 군대 용어였습니다. 그런데 이게 어느새 상당히 많이 확산되어서 각 잰다, 각도기 깨졌나 등등 별별 파생표현이 나오더니 결국 이렇게 표준국어대사전에도 오를 정도가 되었고, 정말 세상이 많이 변했습니다.


그러고 보니 한때 많이 쓰였는데 이제는 아예 안 쓰이는 표현도 있습니다. 거짓말한다, 사기친다 등의 뜻으로 쓰이던 "사발친다" 라는 말은 1990년대에는 많이 쓰였는데 2000년대부터는 급감하여 소멸했습니다. 그리고 그 이전 세대의 말인 "아베크족", "쌍쌍파티" 같은 말도 아주 오래전의 것이 되어 1990년대에서 2000년대의 대학가에서는 "함께" 를 뜻하는 프랑스어 전치사 아베크(avec)에서 유래한 아베크족이 캠퍼스커플의 약칭인 CC로 완벽히 대체되어 있기도 했습니다.

Board Menu

목록

Page 1 / 28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5월 이후로 연기합니다

  • update
SiteOwner 2024-03-28 116
공지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SiteOwner 2024-03-05 131
공지

2023년 국내외 주요 사건을 돌아볼까요? 작성중

10
마드리갈 2023-12-30 319
공지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

609
  • update
마드리갈 2020-02-20 3801
공지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

2
  • file
마드리갈 2018-07-02 948
공지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

2
SiteOwner 2013-08-14 5900
공지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하네카와츠바사 2013-07-08 6528
공지

오류보고 접수창구

107
마드리갈 2013-02-25 11037
5734

군인 비하에는 상하가 따로없는 세태

1
  • new
SiteOwner 2024-06-25 12
5733

변동가능한 기준으로 만들어지는 문헌의 문제

2
  • new
마드리갈 2024-06-24 21
5732

"영남 남인의 예법" 이라는 발언

2
  • new
마드리갈 2024-06-23 47
5731

'제 환경에서 나가주시죠'... 또 사고친 환경단체 (+추가)

3
  • new
Lester 2024-06-22 56
5730

새벽에 간단한 이야기 몇가지.

2
  • new
마드리갈 2024-06-21 54
5729

집 계약을 하고 왔습니다.

4
  • new
시어하트어택 2024-06-20 60
5728

취미도 굿즈도 미쿠미쿠 하게 해줄게

4
  • file
  • new
마키 2024-06-19 65
5727

[작가수업] 왜 홈즈였는가, 왜 GTA였는가 (2/2)

2
  • new
Lester 2024-06-19 47
5726

[작가수업] 왜 홈즈였는가, 왜 GTA였는가 (1/2)

2
  • new
Lester 2024-06-18 48
5725

묘하게 발달하는 감각

2
  • new
마드리갈 2024-06-18 49
5724

폴리포닉 월드의 시스템은 독재자나 철인(哲人)을 전제하는가

2
  • new
마드리갈 2024-06-17 51
5723

최종적으로 퇴사를 마쳤습니다.

4
  • new
국내산라이츄 2024-06-16 62
5722

꿈 속에서 봤던 한국언론의 미래상

4
  • new
마드리갈 2024-06-15 69
5721

신칸센 닥터옐로우의 퇴역 카운트다운

8
  • file
  • new
SiteOwner 2024-06-14 118
5720

네 사람의 서명에서 언급되는 인도 (※)

4
  • new
Lester 2024-06-13 105
5719

아침의 지진속보

2
  • new
마드리갈 2024-06-12 53
5718

TODAY IS ANOTHER DAY - 갑자기 더워진 날의 이야기

2
  • new
SiteOwner 2024-06-11 56
5717

여러 가지 이야기

4
  • new
시어하트어택 2024-06-10 104
5716

석유 관련의 논란과 "그럼 그 석유 쓰지마"

2
  • new
SiteOwner 2024-06-09 60
5715

Microsoft Edge에 대체 무슨 문제가 있는지...

2
  • new
마드리갈 2024-06-08 62

Polyphonic World Forum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