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spacecraft-crater.jpg (85.4KB)
- selfie.jpg (208.4KB)
우주개발은 지극히 어려운 것인데다 아무리 전통이 탄탄하더라도 공백이 생기거나 하면 성공적으로 재개하기가 매우 힘든 프로젝트입니다. 그것이 소련에서 1959년에서 1976년까지 1호에서 24호까지가 모두 28번 발사된 루나계획(Луна Космическая Программа) 및 2023년에 같은 이름으로 재개되었으나 실패한 루나 25호가 있습니다.
1966년 2월 3일은 루나 9호의 월면착륙 성공일입니다. 이전의 경착륙(硬着陸, Hard Landing)과 달리 58년 전의 오늘의 것은 인류 최초의 연착륙(軟着陸, Soft Landing). 소련시대의 이 성공은 긴 공백을 깬 신생 러시아연방공화국이 2023년에 재개한 루나 25호에는 연결되지 않았습니다. 역시 긴 공백은 이렇게 뼈아픈 것입니다.
그러나 러시아의 기술을 경시해야 할 이유는 없습니다.
2023년 8월 11일에 발사된 루나 25호는 5일 뒤인 8월 16일에 달 주변 공전궤도에 진입해서 8월 19일에 착륙을 준비하다가 그 다음날부터 제어불능상태에 빠졌고 그 이후로는 월면에 충돌한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의 이미지가 루나 25호 및 달 상공에서 착륙용 카메라로 포착한 달의 남극권의 제만 크레이터(Zeeman Crator, 지름 186km).
이미지 출처
(러시아의 탐사기 루나 25호, 월면에 충돌, 2023년 8월 21일 AstroArts 기사, 일본어)
그리고 여정 도중에 루나 25호가 자체촬영한 것도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는 위의 것과 동일하여 생략합니다.
이 3장의 셀카에는 왼쪽부터 러시아(Россия, 라씨야), 지구(Земля, 젬랴) 및 달(Луна, 루나)이 보입니다. 게다가 정보도 러시아어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굳이 로마자 표기가 아니라도 키릴문자로 저렇게 정보처리를 할 수 있는 점도 러시아 기술이 만만히 볼 게 아니라는 것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성공률 4할" 이라는 수식어가 붙는 달 탐사프로젝트는 아직 성공률이 낮긴 하지만 화성의 3할보다는 월등히 높습니다. 그리고 인류의 도전은 20세기 후반에 이어 21세기 전반에 다시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Founder and Owner of Polyphonic World
목록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2024-09-06 | 165 | |
공지 |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
2024-03-28 | 170 | |
공지 |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
2024-03-05 | 185 | |
공지 |
2023년 국내외 주요 사건을 돌아볼까요? 작성중10 |
2023-12-30 | 356 | |
공지 |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612 |
2020-02-20 | 3858 | |
공지 |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2
|
2018-07-02 | 997 | |
공지 |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2 |
2013-08-14 | 5967 | |
공지 |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
2013-07-08 | 6592 | |
공지 |
오류보고 접수창구107 |
2013-02-25 | 12081 | |
13 |
아아... 포럼에 글이 가득해...2 |
2013-02-28 | 241 | |
12 |
피곤하네요...3 |
2013-02-28 | 287 | |
11 |
다들 안녕하세요3 |
2013-02-28 | 249 | |
10 |
안녕하세요5 |
2013-02-27 | 286 | |
9 |
안녕하세요 대강당 운영진 하네카와츠바사입니다8 |
2013-02-27 | 343 | |
8 |
기지개 한번 잘못했더니 명치에 데미지 ㅇㅅㅇ2 |
2013-02-27 | 480 | |
7 |
설정을 시각화...그것도 대체 역사물이라면 가장 짜증나는게 있죠.5
|
2013-02-27 | 207 | |
6 |
야구팀 동물이름 이야기9 |
2013-02-27 | 525 | |
5 |
안녕하세요2 |
2013-02-26 | 198 | |
4 |
시간이 멈췄으면 좋겠어요 lllOTL8 |
2013-02-26 | 214 | |
3 |
저 또한 초대 받아서 나타난 ㅇㅅㅇ!3 |
2013-02-26 | 218 | |
2 |
회원가입 감사인사 및 여러가지10 |
2013-02-25 | 356 | |
1 |
쪽지 받고 들어와봅니다.3 |
2013-02-25 | 196 |
2 댓글
마키
2024-02-04 06:57:23
1970년 12월 15일 소련의 금성 탐사기 베네라(=비너스, 금성) 7호는 처음으로 금성의 지표에 착륙해 통신하는 것에 성공. 금성의 무지막지한 환경을 버티지 못하고 파괴될때까지 단 35분간의 통신이었지만 이 기록은 '인류가 처음으로 다른 행성에 탐사기를 보내 지표에 착륙시켜 교신한 기록'이 되었죠.
세간에선 아폴로 11호에 밀려 2인자 취급받지만 소련의 우주 개척은 사실 어떤 면에서는 미국보다 더 선진적인 면도 있었죠. 우주왕복선 부란만 하더라도 미국의 것은 비행 과정 전체가 매우 불안정한 무게 비중과 자세를 로켓의 추진력으로 억지로 눌러가며 비행하는 모양새였다면 부란의 발사 자체는 에네르기아 라는 거대한 단독 발사체에 일임되었죠.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우주에 나갔던 1988년 11월 15일의 비행 기록에서도 부란은 오토 파일럿에 의한 무인 조종으로 임무를 수행했으며, 대기권 돌입시엔 글라이더가 되는 미국제와 다르게 대기권 동력 비행도 가능한 등 기술적인 면에선 후발 주자인 점을 고려해도 훨씬 뛰어난 기체였죠.
결국 돈 문제로 끝장나나 싶던 우주 개척이 다시금 여러가지 방향으로 진보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단한 환영이에요.
SiteOwner
2024-02-04 20:17:26
사실 소련발 스푸트니크 쇼크 및 다방면에서 발휘된 혁신이 결코 우연의 산물인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미국과 소련의 우주개발의 역사를 비교해 보면 미국은 우월한 인적 및 물적자원에도 불구하고 각 개발주체의 난립으로 문제가 많았지만 소련은 부족한 역량에도 불구하고 선택과 집중을 통해 최단기간에 목표를 달성하는 무서움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배양된 소련의 기술유산은 현재 많이 약체화된 러시아에도 상당부분 남아 있고 결코 무시할 수 없습니다. 비록 우크라이나에 대한 침략 이후 러시아의 우주개발의 국제교류가 다 끊겼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가볍게 볼 사안은 아닙니다. 우주항공기술과 군사기술은 사실상 구별이 무의미한 영역인데다 좋든 싫든 러시아의 영향력은 세계에 걸쳐 있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