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시광선 : 빨주노초파남보, 우리가 볼 수 있는 색깔입니다. 우리의 눈이, 가시광선을 색깔이라고 생각하고서는 우리한테 그렇게 보여주는 겁니다...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이번주 수요일이 데이터통신이라는 과목의 보강이었습니다.
그날 배운 것은, 유선통신과 그것에 어떤 걸 사용하는지, 각각 어디에 사용하고, 그 중 광섬유는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였고, 그리고, 무선통신과 그 대역(라디오파, 마이크로파, 적외선), 그것들이 어떻게 전파되는지 등등이었습니다.
맨 처음에, 교수님께서 전자파의 대역폭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 간단히 말해 빛에서 가시광선이 어디까지인지, 적외선은 어디까지인지 등등을 살짝 언급하셨는데, 전 그때 생각했었습니다.
'마이크로파도 적외선도 알고 보면 저런 전자파인데, 그리고 와이파이에도 그런 전자파를 쓰는 것일텐데, 그럼 가시광선으로도 통신을 할 수 있지 않을까?'
- 그러니까, 제가 생각한 건, 무슨 장치를 아래처럼 달면
저기서 소리가 색깔로 나오면서, 수신장치로 들어가 스피커에서 소리로 나오는거죠.
참고로 주파수 크기로 늘어놓으면, 마이크로파보다 적외선의 주파수가 더 크고, 가시광선이 적외선보다 주파수가 더 큽니다. 그러니까, 마이크로파로도 통신이 가능하니까, 기술만 좀 더 있다면 아마 가시광선으로도 통신이 가능하지 않을까~ 하고 생각했었는데...
수업 마지막 부분에서 이런 걸 들었었죠.
적외선 통신은 야외 통신으로 쓰기에는 여러가지로 무리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론적으로는)
그러니까, 실내에서의 LAN이나, 리모컨을 이용한 TV 컨트롤에는 적외선을 쓸 수 있습니다만, 장애물을 뚫지 못하고, 무엇보다도 태양빛에 교란되어버린다는 것입니다. 생각해보면 태양빛에 적외선도 많으니까 당연하겠죠...적외선보다 주파수가 높은 가시광선은, 확실히 야외 통신으로 쓰기에는 무리가 높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좀 정리하자면, 이 정도입니다.
주파수 | 1~수백 메가헤르츠 | 1~수백 테라헤르츠 | 페타헤르츠 정도 |
해당 전파 | 마이크로파 | 적외선 | 가시광선 |
야외통신가능여부 | 방송용으로 적합 | 야외통신 불가 | 적외선보다 주파수 높은 녀석들은 당연히 쭈욱 안 된다 |
(페타라는 단위가 있는 줄 처음 알았습니다, 검색하니 나오네요...)
결론은... 지금으로는 기술로는 제가 생각한 것대로는 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적어도 적외선을 통한 야외 통신 기술이... 아니, 통신 기술 자체가 엄청나게 발전하지 않는 한은, 아무래도 제가 생각한 걸 보는 건 힘들지도 모르겠구나... 하고 생각했습니다.
...그나저나 어디에 쓸까요, 가시광선 통신 ㅇㅅㅇ;;;;
PS 이 글은 원래, 보강 듣고 오자마자 쓰기로 결정되어있었습니다만...
제가 까먹고서는 오늘에서야 기억해내서, 결과보고서 잠시 제끼고 이렇게 쓰고 있는 겁니다.
이렇게 긴 글 쓰기도 오랜만인 느낌이 드네요...;;; 글 길이 늘여보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저는 대왕고래입니다. 대왕고래는 거대한 몸으로 5대양을 자유롭게 헤엄칩니다.
대왕고래는 그 어떤 생물과 견주어도 거대하다고 합니다.
목록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새로운 프로젝트를 구상 중입니다. (250326 추가)6
|
2025-03-02 | 176 | |
공지 |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2024-09-06 | 356 | |
공지 |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
2024-03-28 | 209 | |
공지 |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
2024-03-05 | 240 | |
공지 |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615
|
2020-02-20 | 3924 | |
공지 |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2
|
2018-07-02 | 1054 | |
공지 |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2 |
2013-08-14 | 6034 | |
공지 |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
2013-07-08 | 6643 | |
공지 |
오류보고 접수창구107 |
2013-02-25 | 12159 | |
6042 |
이제는 증기기관차도 디지탈제어시대
|
2025-04-18 | 8 | |
6041 |
이유를 말못하는 개혁과 시장을 이긴다는 망상
|
2025-04-17 | 11 | |
6040 |
판소리풍 화법의 기사를 쓰면 행복할까2
|
2025-04-16 | 18 | |
6039 |
자칭 통일운동가들은 김일성 생일은 잊어버렸는지...2
|
2025-04-15 | 23 | |
6038 |
<죠죠의 기묘한 모험> 7부 <스틸 볼 런>의 애니메이션 제작이 확정7
|
2025-04-14 | 103 | |
6037 |
엑스포 이야기 약간.4
|
2025-04-13 | 74 | |
6036 |
미국의 제조업 천시 마인드는 여전합니다3
|
2025-04-12 | 52 | |
6035 |
트럼프라면 중국에 대해 1000% 관세율을 적용할 듯?3
|
2025-04-11 | 48 | |
6034 |
NHK에서도 애니에 출연하는 성우들이 자주 나오네요
|
2025-04-10 | 37 | |
6033 |
이번주의 피로가 지난 수년간보다 더 크게 느껴지네요2
|
2025-04-09 | 45 | |
6032 |
"자칭 히로스에 료코 용의자 체포" 의 충격2
|
2025-04-08 | 48 | |
6031 |
러시아의 첩보센서는 영국 영해에까지 들어와 있습니다2
|
2025-04-07 | 50 | |
6030 |
적성국보다 동맹국이 나쁘다고 말한 결과2
|
2025-04-06 | 52 | |
6029 |
형해화에 무감각한 나라
|
2025-04-05 | 45 | |
6028 |
계엄-탄핵정국은 이제야 끝났습니다8
|
2025-04-04 | 116 | |
6027 |
학원 관련으로 여행에서 접한 것들 몇 가지2
|
2025-04-03 | 50 | |
6026 |
애니적 망상 외전 10. 일본에 펼쳐진 시카노코2
|
2025-04-02 | 61 | |
6025 |
이제 일상으로 복귀중2
|
2025-04-01 | 54 | |
6024 |
조만간 출장 일정이 하나 잡혔는데...4
|
2025-03-31 | 111 | |
6023 |
최근 자연재해 소식이 많이 들려오는군요3
|
2025-03-28 | 121 |
2 댓글
마드리갈
2013-10-11 22:43:20
가시광선통신에 관한 의문 글 잘 읽었어요.
VLC로 검색을 해 보시면 기술정보를 얻을 수 있어요. Visible Light Communication의 약자로, 정말 넓게 잡으면 과거의 봉화를 이용한 것도 포함되지만 여기서는 대략 전파를 사용하는 것같이 가시광선을 쓰는 거예요. 일본의 게이오대학에서는 LED를 통한 가시광선 데이터전송도 연구하고 있고, 미국 미네소타주에서는 이미 상용화에 착수했어요. 조금 더 좁은 개념으로, Wi-Fi를 전파에서 가시광선으로 대체하려는 연구도 있어요. 이걸 Li-Fi라고 하지요.
광섬유 관련이 나왔으니 이것도 언급해 드릴께요. 항공에서 avionics 분야에 fly-by-light, 또는 fly-by-optics라는 개념이 있어요. 이것에 대해서도 흥미로운 것이 많으니 참고해 보시길 바래요.
대왕고래
2013-10-11 22:46:46
전파처럼 가시광선을 쓴다니, 제 생각보다도 더 현실적이면서, 또 제 상식을 앞서있군요.
게다가 가시광선을 와이파이로!? 대체 얼마나 생각이 앞서있는거야...
역시 학부생 레벨로는 힘든 걸까요... 대학원 가기를 결심하길 잘했다고 또다시 생각하게 되어요.
VLC라는 것이군요. fly-by-light도 시간 내서 한번 알아봐야겠어요. 고마워요!!
...근데 전공하는 사람은 분명 저인데 마드리갈님이 더 잘 아세요...ㅜㅜ 정말 대단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