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콜롬비아의 구스타보 페트로(Gustavo Petro, 1960년생) 대통령이 "코카인은 위스키만큼 나쁘지 않다" 그리고 "불법인 유일한 이유는 그게 라틴아메리카에서 만들어져서" 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2022년 8월 이래 권좌에 앉은 이 좌파 지도자의 발언이 이 수준이니 콜롬비아의 미래는 참 밝을 듯합니다.
언론보도를 하나 소개하겠습니다. 한번 직접 판단해 보시기를 부탁드립니다.
Cocaine is 'no worse than whiskey', says Colombia's president (2025년 2월 6일 euronews., 영어)
그는 콜롬비아를 거점으로 활동했던 극좌폭력조직인 4월 19일 게릴라운동(Movimiento 19 de Abril)의 리더로서 콜롬비아 정치인 살해 등을 주도했다가 1985년에 체포된 이후 고문을 받고 수감된 이력이 있고, 예의 폭력조직이 1990년에 해산된 이후에는 정계에 진출해서 그 조직을 사실상 계승한 정당인 M-19 민주연합(Alianza Democrática M-19)을 설립하여 1991년 총선에서 하원 다수 의석을 차지하며 정계에 입문했습니다. 또한 2006년에는 상원에 진출하고 콜롬비아 내부에서 준군사조직들이 민간인들을 납치살해했다는 의혹을 폭로하면서 인기를 구가했지만 살해협박도 받고 2010년 대통령선거에서 4위를 기록하는 것으로 낙선하는 등의 위기도 맞다가 2011년에 수도 보고타(Bogotá)의 시장으로 당선되어 이듬해부터 시장직을 수행하다 2014년에 주민소환으로 시장직에서 쫓겨났다 복위되는 사태도 맞았습니다. 이후 2018년 대선에서 또 패배했다 2022년 대선에서 이기는데...
한다는 말이 이렇습니다.
코카인이 불법인 것은 단지 그게 라틴아메리카에서 만들어져서이지 위스키보다 나빠서는 아니다, 평화를 원한다면 마약밀매가 해체되어야 하고 그 방법은 합법적인 판매로 쉽게 실현가능하다는 것. 즉, 코카인이 와인같이 판매될 수 있어야 밀매가 없어진다는 것. 미국인들을 죽이는 펜타닐(Fentanyl)은 콜롬비아에서 만들어진 게 아니라 북미의 다국적 제약회사들이 만들어낸 것이고 사용자들은 중독될 수밖에 없다는 것인데. 펜타닐의 개발회사가 벨기에의 얀센(Janssen)이고 미국의 제약회사들은 복제약으로서 그것들을 생산했을 따름인 사실과는 배치된다는 점에서 예의 발언의 신빙성은 이미 충분히 증명됩니다.
페트로라는 성씨 그대로 사고방식도 그 모양이 아니라면 그렇게까지 코카인을 옹호하는 데에는 이유가 하나밖에 없습니다. 그것이 자신에게 이득이니까. 세걔 최대의 코카인 생산국이자 재배면적기준 전세계의 2/3 가까이를 차지하는 콜롬비아에서는 2023년 기준 경작면적이 2022년 대비 10% 증가한 253,000헥타르 정도를 기록합니다. 이 정도면 서울특별시 전체면적의 4.18배를 넘습니다.
Founder and Owner of Polyphonic World
목록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2024-09-06 | 250 | |
공지 |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
2024-03-28 | 194 | |
공지 |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
2024-03-05 | 216 | |
공지 |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613
|
2020-02-20 | 3885 | |
공지 |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2
|
2018-07-02 | 1020 | |
공지 |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2 |
2013-08-14 | 6008 | |
공지 |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
2013-07-08 | 6620 | |
공지 |
오류보고 접수창구107 |
2013-02-25 | 12119 | |
13 |
아아... 포럼에 글이 가득해...2 |
2013-02-28 | 241 | |
12 |
피곤하네요...3 |
2013-02-28 | 287 | |
11 |
다들 안녕하세요3 |
2013-02-28 | 250 | |
10 |
안녕하세요5 |
2013-02-27 | 289 | |
9 |
안녕하세요 대강당 운영진 하네카와츠바사입니다8 |
2013-02-27 | 343 | |
8 |
기지개 한번 잘못했더니 명치에 데미지 ㅇㅅㅇ2 |
2013-02-27 | 481 | |
7 |
설정을 시각화...그것도 대체 역사물이라면 가장 짜증나는게 있죠.5
|
2013-02-27 | 209 | |
6 |
야구팀 동물이름 이야기9 |
2013-02-27 | 526 | |
5 |
안녕하세요2 |
2013-02-26 | 198 | |
4 |
시간이 멈췄으면 좋겠어요 lllOTL8 |
2013-02-26 | 218 | |
3 |
저 또한 초대 받아서 나타난 ㅇㅅㅇ!3 |
2013-02-26 | 219 | |
2 |
회원가입 감사인사 및 여러가지10 |
2013-02-25 | 359 | |
1 |
쪽지 받고 들어와봅니다.3 |
2013-02-25 | 196 |
2 댓글
Lester
2025-02-08 22:11:07
"불법인 유일한 이유는 그게 라틴아메리카에서 만들어져서"... 그렇다면 골든 트라이앵글이나 골든 크레센트는 뭐라고 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게다가 코카인이 와인같이 판매될 수 있어야 밀매가 없어진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이미 먼나라 이웃나라를 비롯한 여러 매체에서 이상적인 모델이라고 칭송받았다가 결국 인간의 탐욕을 이기지 못하고 철폐된 네덜란드 모델을 반박으로 삼을 수 있겠고요.
심지어 멕시코를 비롯해 카르텔이 맹위를 떨치는 중남미 국가들은 카르텔과 정치인의 유착관계가 엄청나서 판사들조차 선거로 뽑자고 하는 형국인데(아마 포럼에서도 한 번 이야기가 나왔던 걸로 기억합니다), 저 망언을 일삼은 구스타보 페트로 또한 그냥 카르텔의 '바지사장'이 아닐까 하는 합리적 의심이 듭니다. 물론 이런 나라들은 대체로 바른 소리를 했다가는 목이 남아나지 않는 지옥도입니다만, 그런 것치고는 너무 열성적으로 코카인을 옹호하는 것 같거든요.
SiteOwner
2025-02-08 22:52:22
진영논리에 매몰된 극좌 테러리스트 출신이니 저런 소리밖에 할 수 없는 것이지요. 성씨가 돌을 의미하는 페트로(Petro)니까 그 발상이 실로 명실상부합니다. 그런 사람들에게는 수많은 반례 또한 어떻게 되든 상관없을 것이 아니겠습니까.
조폭을 옹호하는 사람들에게는 2가지 부류가 있다고 합니다. 생각이 없거나, 아니면 어떻게든지 자신에게 득이 되는 방향으로 접점이 있으니까. 구스타보 페트로 콜롬비아 대통령의 코카인 옹호논리도 적어도 그 둘 중의 하나이고, 어쩌면 둘 다 해당될 수도 있습니다.
라틴아메리카의 혼탁상은 이전에 동생이 쓴 글인 멕시코의 판사직선제가 초래할 것들에도 잘 나와 있습니다. 꼭 시행착오를 하겠다는데 누가 어떻게 막겠습니까. 지난 2세기간의 혼탁상에서도 못 배웠는데 이제 와서 배울 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브라질의 항공기, 커피, 사탕수수, 예르바 마테나 카리브해 각국의 럼, 칠레의 수산물, 아르헨티나의 홍차 등의 자랑할만한 명품이 있는 나라들은 그나마 희망이 있지만 콜롬비아에는 커피 등의 다른 이름난 상품이 있음에도 지도자가 겨우 코카인 따위나 옹호하고 있으니 답이 있을리 만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