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995년 3월 20일에 발생한 옴진리교의 독가스테러는 당시 고등학생인 저에게도 큰 충격이었습니다.
당장 대구시내만 하더라도 나갔다 오면 새로운 것을 얻은 듯했던 저에게는 서울이나 도쿄 등의 대도시는 그야말로 로망 그 자체였고 언젠가는 대학생활 및 직장생활을 해보고 싶은 곳이었지요. 그리고 오래전부터 철도를 좋아했던 저에게는 세계최강의 네트워크를 자랑하는 도쿄의 철도시스템 또한 여러모로 동경의 대상이었습니다.
그런데 그런 철도시설의 내부에 독가스가 뿌려지고 대량의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것에 충격이 안 들 수가 없었습니다.
또한 많이 놀란 것은, 그해 1월 17일의 고베 대지진으로 통칭되는 한신아와지대지진에 대해서 일본이 재해를 당했으니까 잘되었다 천벌이다 운운하는 시각이 그 사건에서도 여전히 작동된다는 것이었습니다. 심지어 옴진리교의 인물이 독립투사라는 소리까지 공공연히 나왔던 것을 접하면서 정말 진정한 괴물과 악인이란 멀리 있지 않다는 것을 제대로 배웠습니다. 나중에 악의 평범성이라는 것을 철학에서 공부하면서 알게 되었습니다만 그건 또 10년 뒤의 이야기이고...
1995년의 그 해의 상반기가 끝나가던 무렵인 6월 29일, 삼풍백화점 붕괴사고라는 전대미문의 재난이 발생하였고, 그 해의 여름이 끝나갈 무렵인 8월 21일에는 경기여자기술학원 방화사건으로 또 엄청난 인명피해가 난 것도 기억납니다. 생각해 보면, 그 해는 재난을 겪지 않고 살아남았다는 것이 정말 큰 보상이었나 싶습니다.
도시생활을 동경하던 소년은 이미 중년의 나이가 되어 있고, 그 동안 30년의 시간이 흘렀음에도 옴진리교의 잔영은 여전히 남아있다는 것이 우려스럽습니다. 그 옴진리교라는 단체는 없어졌지만 알레프를 위시한 후계단체에 30대 이하의 입교자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데에서 여전히 안심할 수 없습니다.
그렇습니다. 옴진리교 테러 이후 30년이 지났습니다만 재난의 도래가 단지 미루어진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에 두려워집니다.
Founder and Owner of Polyphonic World
목록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새로운 프로젝트를 구상 중입니다. (250326 추가)6
|
2025-03-02 | 154 | |
공지 |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2024-09-06 | 349 | |
공지 |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
2024-03-28 | 205 | |
공지 |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
2024-03-05 | 236 | |
공지 |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615
|
2020-02-20 | 3921 | |
공지 |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2
|
2018-07-02 | 1047 | |
공지 |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2 |
2013-08-14 | 6029 | |
공지 |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
2013-07-08 | 6640 | |
공지 |
오류보고 접수창구107 |
2013-02-25 | 12154 | |
7 |
설정을 시각화...그것도 대체 역사물이라면 가장 짜증나는게 있죠.5
|
2013-02-27 | 211 | |
6 |
야구팀 동물이름 이야기9 |
2013-02-27 | 528 | |
5 |
안녕하세요2 |
2013-02-26 | 202 | |
4 |
시간이 멈췄으면 좋겠어요 lllOTL8 |
2013-02-26 | 220 | |
3 |
저 또한 초대 받아서 나타난 ㅇㅅㅇ!3 |
2013-02-26 | 221 | |
2 |
회원가입 감사인사 및 여러가지10 |
2013-02-25 | 361 | |
1 |
쪽지 받고 들어와봅니다.3 |
2013-02-25 | 198 |
2 댓글
대왕고래
2025-03-23 01:41:52
저는 이야기로만 들은 사건이죠. 간단하게 듣기만 해도 "뭐 저런 미친 사건이 다 있었나" 싶었어요.
게다가 관련사건 가해자 중에는 나름 배웠다는 사람들도 있었다고 들었거든요. 충격이었죠.
SiteOwner
2025-03-24 23:33:53
고학력자가 그 지식을 이용하여 반지성주의 세력에 힘을 실어주는 역설적인 사례가 의외로 꽤 있습니다. 이미 영국에는 캠브리지 파이브(Cambridge Five)로 불렸던, 영국을 대표하는 양대명문대학 중의 하나인 캠브리지대학 출신의 5명이 소련을 위해 간첩으로 활동한 사례도 있습니다. 게다가 킴 필비(Kim Philby, 1912-1988)는 영국의 정보기관원인 동시에 소련의 공작원이기도 했던 이중간첩이었을 뿐만 아니라 단죄되지도 않았고 1963년 이후 생을 마칠 때까지 소련에서 KGB의 간부로 생활했습니다.
그나마 옴진리교의 경우는 주동자들이 모조리 잡혀 끝내 법의 심판을 받았으니 그래도 좀 나은 편이랄까요. 사실 이렇게 단죄되는 경우가 별로 많지는 않습니다. 미국의 정보기관 간부이면서 소련을 위해 일했던 올드리치 에임스(Aldrich Ames, 1941년생)라든지, 콜롬비아 출신으로 미국의 외교관이 되었지만 실상은 쿠바의 간첩이었던 마누엘 로차(Manuel Rocha, 1950년) 같은 경우가 대표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