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지널 창작물 또는 전재허가를 받은 기존의 작품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 20140218_164238.jpg (1.41MB)
왼쪽 위는 단역 캐릭터입니다. 직업은 기자. 이름은 크리스 스트레이(Chris Stray)입니다.
그리고 그 옆은 무인기입니다. 어디 소속인지는 확정은 안 되었습니다.
그 밑에 캔 잘라 놓은 것(...)처럼 보이는 것은 한랭지용 주택입니다. 이것도 개척민들이 주로 씁니다.
밑에 있는 것은 작품 속에 등장한 공연 시설입니다.
사족이라면... 제가 기획(?)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그림제에 큰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나름 제가 처음으로 밀어 보는 행사이기도 하거든요.
언젠가는 사랑받는 작가가 되고 싶다
목록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채색이야기] 면채색을 배워보자| 공지사항 6
|
2014-11-11 | 8310 | |
공지 |
오리지널 프로젝트 추진에 대한 안내| 공지사항 |
2013-09-02 | 2407 | |
공지 |
아트홀 최소준수사항| 공지사항
|
2013-02-25 | 4812 | |
2620 |
[그 초능력자가 수상하다!] 68화 - 원격조종(3)| 소설 1
|
2025-02-21 | 9 | |
2619 |
[그 초능력자가 수상하다!} 등장인물 소개(8)| 스틸이미지 1
|
2025-02-20 | 10 | |
2618 |
카타| 설정 1
|
2025-02-20 | 13 | |
2617 |
[그 초능력자가 수상하다!] 67화 - 원격조종(2)| 소설 1
|
2025-02-19 | 29 | |
2616 |
[그 초능력자가 수상하다!] 66화 - 원격조종(1)| 소설 4
|
2025-02-14 | 38 | |
2615 |
[그 초능력자가 수상하다!] 65화 - 원하지 않은 몸짓(3)| 소설 4
|
2025-02-12 | 42 | |
2614 |
일러스타페스에서 찍은 사진 몇 장| 스틸이미지 6
|
2025-02-10 | 51 | |
2613 |
[그 초능력자가 수상하다!] 등장인물 소개(7)| 스틸이미지 5
|
2025-02-09 | 56 | |
2612 |
[그 초능력자가 수상하다!] 64화 - 원하지 않은 몸짓(2)| 소설 4
|
2025-02-07 | 55 | |
2611 |
[그 초능력자가 수상하다!] 63화 - 원하지 않은 몸짓(1)| 소설 4
|
2025-02-05 | 48 | |
2610 |
[그 초능력자가 수상하다!] 62화 - 머릿속의 가시밭| 소설 4
|
2025-01-31 | 57 | |
2609 |
[그 초능력자가 수상하다!] 61화 - 험난한 팬의 길| 소설 4
|
2025-01-29 | 59 | |
2608 |
수채화로 그린 그림 2장.| 스틸이미지 4
|
2025-01-26 | 55 | |
2607 |
[그 초능력자가 수상하다!] 등장인물 소개(6)| 스틸이미지 4
|
2025-01-24 | 67 | |
2606 |
[그 초능력자가 수상하다!] 60화 - 숨돌리기도 쉽지 않다| 소설 4
|
2025-01-24 | 43 | |
2605 |
[그 초능력자가 수상하다!] 59화 - 집에 가는 길은 쉽지 않다(3)| 소설 4
|
2025-01-22 | 45 | |
2604 |
[그 초능력자가 수상하다!] 58화 - 집에 가는 길은 쉽지 않다(2)| 소설 4
|
2025-01-17 | 36 | |
2603 |
폰드조이 아이언맨| REVIEW 4
|
2025-01-16 | 48 | |
2602 |
[그 초능력자가 수상하다!] 57화 - 집에 가는 길은 쉽지 않다(1)| 소설 4
|
2025-01-15 | 51 | |
2601 |
[그 초능력자가 수상하다!] 56화 - 일요일은 평일보다 요란하다(4)| 소설 4
|
2025-01-10 | 52 |
2 댓글
마드리갈
2014-02-19 18:27:56
한랭지용 주택이 꼭 비행기 격납고같다는 느낌이 들기도 한데...춥기만 하고 눈이 많이 오는 곳은 아닌가봐요? 눈사람 그림으로 봐서는 눈이 오는 건 분명할텐데...저런 반원형 지붕의 경우 폭설피해를 입을 수도 있어요. 일본 항공자위대 및 주일미군 격납고에 저런 형태의 시설이 있는데 폭설피해를 입은 적도 있어요.
의견을 좀 추가하자면, 토대가 좀 높은 게 좋겠어요. 안그러면 해빙기에 지반이 갑자기 약해져서 무너지고 말거든요. 극지방의 취락 및 건물의 형태를 참조해 보시는 건 어떨까 싶어요.
SiteOwner
2019-02-01 20:11:06
개척지에서는 살아남는 게 최우선사항이니까 주거용 건물의 형태 또한 그에 맞추어지는 게 좋습니다.
한랭지에서 열 손실 최소화 및 공간확보를 양립시키려면 제안하신 것같은 원통을 반으로 잘라 엎어둔 것 같은 형태의 건물 또한 상당히 유용하기 마련입니다.
그런데 그림 하단에 나타난 공연시설은 무엇인지 잘 파악이 안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