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 설정들을 통해서 어떻게 스토리를 전개해야할지 하나도 모르겠습니다.
계속 고민만 하다보니 어느새 설정 관리도 제대로 못 하고.... 마땅히 좋은 조언도 없고 한숨만 나오네요.
그래서 포럼의 여러분들께 조언을 구해봅니다. 제 설정들로는 과연 어떤 스토리가 떠오르나요? 주역은 대제국인걸 전재하로 말입니다.
도움 제대로 한 번 받아보려고요. 부탁드립니다.
반드시 꿈을 이루자. 그동안 억눌렸으니 이제는 일어나서 날아오르자.
목록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교환학생 프로젝트를 구상 중입니다. (250326 소개글 추가)6
|
2025-03-02 | 178 | |
공지 |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2024-09-06 | 356 | |
공지 |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
2024-03-28 | 211 | |
공지 |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
2024-03-05 | 242 | |
공지 |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615
|
2020-02-20 | 3924 | |
공지 |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2
|
2018-07-02 | 1055 | |
공지 |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2 |
2013-08-14 | 6037 | |
공지 |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
2013-07-08 | 6645 | |
공지 |
오류보고 접수창구107 |
2013-02-25 | 12161 | |
6044 |
생각해 보면 겪었던 큰 일이 꽤 오래전의 일이었네요
|
2025-04-20 | 7 | |
6043 |
오늘 쓸 글의 주제는 정해지 못한 채로...
|
2025-04-19 | 18 | |
6042 |
이제는 증기기관차도 디지탈제어시대
|
2025-04-18 | 37 | |
6041 |
이유를 말못하는 개혁과 시장을 이긴다는 망상
|
2025-04-17 | 27 | |
6040 |
판소리풍 화법의 기사를 쓰면 행복할까2
|
2025-04-16 | 30 | |
6039 |
자칭 통일운동가들은 김일성 생일은 잊어버렸는지...2
|
2025-04-15 | 36 | |
6038 |
<죠죠의 기묘한 모험> 7부 <스틸 볼 런>의 애니메이션 제작이 확정7
|
2025-04-14 | 114 | |
6037 |
엑스포 이야기 약간.4
|
2025-04-13 | 78 | |
6036 |
미국의 제조업 천시 마인드는 여전합니다3
|
2025-04-12 | 58 | |
6035 |
트럼프라면 중국에 대해 1000% 관세율을 적용할 듯?3
|
2025-04-11 | 53 | |
6034 |
NHK에서도 애니에 출연하는 성우들이 자주 나오네요
|
2025-04-10 | 40 | |
6033 |
이번주의 피로가 지난 수년간보다 더 크게 느껴지네요2
|
2025-04-09 | 52 | |
6032 |
"자칭 히로스에 료코 용의자 체포" 의 충격2
|
2025-04-08 | 49 | |
6031 |
러시아의 첩보센서는 영국 영해에까지 들어와 있습니다2
|
2025-04-07 | 51 | |
6030 |
적성국보다 동맹국이 나쁘다고 말한 결과2
|
2025-04-06 | 56 | |
6029 |
형해화에 무감각한 나라
|
2025-04-05 | 51 | |
6028 |
계엄-탄핵정국은 이제야 끝났습니다8
|
2025-04-04 | 123 | |
6027 |
학원 관련으로 여행에서 접한 것들 몇 가지2
|
2025-04-03 | 52 | |
6026 |
애니적 망상 외전 10. 일본에 펼쳐진 시카노코2
|
2025-04-02 | 64 | |
6025 |
이제 일상으로 복귀중2
|
2025-04-01 | 58 |
2 댓글
아스타네스
2014-02-27 19:10:43
어떤 이야기를 쓰고 싶은건지 모르겠다면 필사(소설을 하나 잡고 베껴 쓰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됩니다. 필사하면서 이 작가는 어떤 생각으로 이런 표현을 썼을까? 하고 생각할 수 있고, 완성된 글이 가지고 있는 맞춤법과 필체도 손에 익힐 수 있어요. 읽는 것과 직접 쓰면서 익히는 것은 큰 차이를 가지고 있으니까요. 글을 쓰는 사람에겐 아이디어 못지 않게 글을 다듬는 방법과 어휘력도 중요해요. 서점, 도서관에서 올해의 작가 문집, 올해의 문학상 수상집을 구해 필사하는 걸 추천해요. 자연스럽게 독서의 양도 늘어나게 되고, 작가에 따라서도 같은 주제가 다르게 표현되는 것에 대해 놀라게 되곤 한답니다.
유감스럽게 들리겠지만, 전 타인에게 이야기 소재를 얻을 수 있을지언정 이야기까진 완벽히 얻을 수 없다고 생각해요. 똑같은 소재로도 작가마다 다른 이야기를 만들어내는걸요. 당장 스토리 전개를 걱정하는 것보단, 충분한 독서와 경험을 하면서 내가 어떤 이야기를 쓰고 싶은지를 탐구하는 게 제우스님에게 최우선 과제라고 생각해요.
마드리갈
2014-02-28 05:13:07
일단 설정만들기 그 자체를 즐기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생각해요. 그러다 보면 좋은 이야기가 떠오를 수도 있으니까요. 그리고 자주 메모하는 습관을 들이는 게 좋아요.
고전을 많이 읽어보세요. 굉장히 도움이 많이 되어요. 공작창에서도 이미 언급했지만, 고전을 읽어보면 여러 발상에 대해 다각도로 생각할 수 있는 사고력이 배양되어서 좋아요. 그래서 추천드린 거구요. 그리고 사회과학, 자연과학이나 공학 등에 대해서 전공 수준은 아니더라도 대학 교양수준의 것을 읽어보는 것도 상당히 유익해요.
현재의 글은 이용규칙 게시판 제11조에서 규정된 250자보다는 현격히 분량이 적어요.
분량을 맞춰서 글을 쓰는 것도 좋은 연습 중의 하나라고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