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지널 창작물 또는 전재허가를 받은 기존의 작품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 tokyo no yume2.png (1.1KB)
'나노블록 디럭스 에디션 도쿄타워 55주년 기념판'의
디자인을 기초로 해서 만들면서 맘에 안들었던 중간의 2층짜리 대전망대와 상층 특별 전망대 부분을 임의로 고쳤고 나머지는 대체로 본 디자인 그대로입니다. 사실 본체나 다리 부분에 철골 구조의 디테일이 들어가야 하지만 일단 모양을 내는게 우선이라 생략.
딱히 세부 디테일을 꾸미는데는 별 재주가 없는지라 도심 풍경 같은건 쿨하게 생략하고 단색 배경에 탑만 놓아서 월페이퍼로 만들 생각입니다.
東京タワーコレクターズ
ありったけの東京タワーグッズを集めるだけの変人。
목록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채색이야기] 면채색을 배워보자| 공지사항 6
|
2014-11-11 | 8235 | |
공지 |
오리지널 프로젝트 추진에 대한 안내| 공지사항 |
2013-09-02 | 2400 | |
공지 |
아트홀 최소준수사항| 공지사항
|
2013-02-25 | 4800 | |
9 |
[전재] 역대 하기와라 유키호의 성우의 I Want,키라메키라리| 영상 2 |
2013-03-01 | 1192 | |
8 |
[전재][번역] 두근두근 죠죠리얼 Girl's Side 캐릭터 소개란 번역| 설정 10 |
2013-03-01 | 3714 | |
7 |
[오리지널] Seulet의 캐릭터 설정| 설정 5 |
2013-03-01 | 1088 | |
6 |
[오리지널] 3.1절이라서 그린 그림| 스틸이미지 4 |
2013-03-01 | 1119 | |
5 |
[오리지널] 미쿠미쿠?| 스틸이미지 4
|
2013-03-01 | 749 | |
4 |
[전재] 러브라이브! 2nd PV-Snow halation| 영상 4 |
2013-02-28 | 561 | |
3 |
[전재] 동방으로 건방진☆딸기우유 [손발오글 주의]| 영상 3 |
2013-02-28 | 807 | |
2 |
[전재] 가사 뒤에 「커넥트」를 붙히면 이렇게 된다 - by 니코동| 영상 3 |
2013-02-27 | 425 | |
1 |
[전재] 요즘 고래가 사용하는 바탕화면| 스틸이미지 12
|
2013-02-26 | 2049 |
4 댓글
마드리갈
2015-10-15 14:07:23
그림판으로 만든 도트그래픽 도쿄타워군요!!
자세한 것이 묘사되지 않더라도, 일단 특유의 배색 및 패턴으로 도쿄타워라는 게 확연히 잘 보여요.
저렇게 일일이 도트로 묘사한다는 것은 엄청난 정성임에 틀림없어요.
나중에 완성될 월페이퍼도 기대되네요. 잘 감상했어요.
하루유키
2015-10-28 09:45:00
보기에는 단순해보여도 일일히 좌표를 찾아 색을 먹여야 하는게 은근히 골치아프죠.
사실 도트그래픽은 크기가 클 수록 캔버스가 넓어서 색을 채우는 점만 빼면 디테일을 끌어올릴수 있지만 패미컴 같은 8비트 그래픽은 정말 최소한의 색과 캔버스 만으로도 효율적으로 대상을 묘사해야하죠.
언제나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SiteOwner
2015-10-21 23:18:05
대단하십니다. 저렇게 정교하게 잘 만드신 도트그래픽 도쿄타워를 보고 감탄했습니다.
포럼이 개설된 해인 2013년에 트릴리언님이 그림판으로 삼풍백화점의 모습을 만드신 작품을 올려 주신 게 있어서 같이 소개해 드리고 싶어졌습니다. 여기서 보실 수 있습니다.
도쿄타워 하니까, 일본인 지인이 소개해 준 영화인 올웨이즈 3번가의 석양(ALWAYS三丁目の夕日)이라는, 도쿄타워가 지어지던 때인 1958년을 배경으로 하는 영화입니다. 이것 말고도 에쿠니 카오리의 연애소설 Tokyo Tower라는 것도 있습니다.
하루유키
2015-10-28 09:49:06
삼풍백화점하고 구 세계무역센터(WTS)였죠. 그건 저도 언젠가 한번 보고 굉장하다고 감탄했었습니다.
마음같아선 도쿄타워나 서울타워를 그렇게 만들어보고싶지만 재주가 없네요.
언제나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아울러 말씀하신 작품들은 전부 제목 정도는 알고있습니다, 올웨이즈 3번가의 석양은 보려고 생각중이구요. 또 도쿄타워하고는 상관없지만 릴리 프랭키의 소설 도쿄타워 -엄마와 나, 때때로 아버지- 하고 이를 원작으로 한 2007년작 영화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