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to content
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983년 대한항공 B747SP 조종석 및 기내시설 모습

B777-300ER, 2017-07-03 23:29:20

조회 수
131

https://youtu.be/BsTiY48OOFo


▲ 한국 항공 역사 자료를 통틀어도 매우 귀중한 자료 중 하나인 1983년 당시의 대한항공 B747SP 조종석 및 기내시설 모습입니다. 

기장의 인터뷰 내용으로 서울-LA 간 직항 노선 운항 때 촬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jpg


▲ 1982년 12월 취리히 공항에서 촬영된 영상 속의 항공기 사진


○ 기       종 : 보잉 747SP(Special Performance, 동체 단축형)

○ 기체번호 : HL7456

○ 등록년도 : 1981년 1월 22일

○ 제작번호 : 22483/501


보잉 747SP는 보잉 747의 최초 발주 항공사였던 팬 아메리칸 항공이 뉴욕-도쿄 무기착 노선 개설을 목적으로 보잉에 요청하여 개발된 여객기입니다. 기존 보잉 747-100을 70m에서 56m로 축소 및 주익 폭·수직미익 높이 개선 병행으로 순항속도의 증가 및 장거리 무기착 노선 개척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고자 하였으나, 정작 기존 747 시리즈 대비 낮아진 효율성과 기체 단동화로 인한 탑승 가능 인원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총 45대 판매 후 1989년에 단종되었습니다.


대한항공은 서울발 남회항로 및 LA 무기착 노선 투입을 목적으로  1981년 747SP 2대를 도입(HL7456, HL7457)하였으며, 이 중 HL7456은 1999년 매각 후 여러 항공사를 전전하다가 2006년에 폐기 처리되었고, HL7457은 1998년 매각 후 프랫&휘트니 사에서 인수하여 현재까지 항공기 엔진 시험용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등록번호 : C-GTFF)

B777-300ER

농업은 모든 산업의 기초입니다. 农业所有产业的基础La agricultura es la base de todas las industrias.

Agriculture is the foundation of all industries. L'agriculture est le fondement de toutes les industries.

2 댓글

마드리갈

2017-07-03 23:51:46

747SP가 국내에서도 쓰였군요. 꽤 의외예요.

사실 같은 연료로 더 멀리 날려면 총중량을 줄여야 하는 게 맞고, 당시 기술력으로는 그 거대한 747-100으로는 뉴욕-도쿄 초장거리노선을 커버하기에는 역부족이었을 거예요. 그래서 저렇게 동체를 줄이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지만, 수송력증강을 위해 광동체를 채택했는데 장거리항로 투입을 위해 동체를 단축했다는 것은 아무래도 이율배반적이니 그런 점에서 미묘한 감을 숨길 수가 없어요.


지금도 저 기체가 프랫&휘트니(P&W)에서 쓰이는군요.

그런데 요즘 보잉이 GE 엔진만 편애하는 것 같아서 이것도 P&W에는 큰 위기일 듯하네요. 당장 C-17 수송기의 생산이 종료되어 PW2000의 추가주문도 기대하기 힘들고, PW4000 시리즈는 747-400조차도 속속 퇴역하는 터라 입지가 좁아지고 있고, P&W 및 GE의 연합으로 만들어지는 엔진인 GP7200은 A380의 생산량이 많지 않다 보니 이것도 한계가 있고, 역시 남은 건 중단거리 민항기 분야의 PW1000G 기어드터보팬 엔진인가 싶을 정도네요.

SiteOwner

2017-07-04 20:50:50

상당히 귀중한 자료입니다. 아날로그 계기에만 의존해야 했던 저 시대의 조종사들에게 경의를 표합니다.

사실 747SP라는 기종이 전세계 생산량이 45대밖에 되지 않고, 상업운항에서는 2016년 7월 이란항공에서 퇴역한 이래로는 더 이상 쓰이지 않다 보니 알기도 쉽지 않습니다. 현재의 운용중 기체는 중동 왕조국가들의 전용기, 미 항공우주국, 위에서 언급하신 프랫&휘트니 엔진실험용 기체, 미국/독일 공동천문연구용 기체인 SOFIA 정도에 한정되어 있습니다.


사실 판매가 부진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 747-100의 후계기종인 747-200이 나오면서 최대항속거리가 12,000km를 넘겼기에 수송력이 낮고 747-200에 비해 항속거리에서도 역전당한 747SP를 선택해야 할 이유가 완전히 사라진 데에 있습니다. SP의 성능 중 747-100보다 확실히 나았던 것이 10,800km의 항속거리(747-100의 경우 8,560km)였는데, 747-200이 도입되면서 대규모, 장거리 항로 어느 쪽에도 다 투입이 가능해졌다 보니 합리적인 항공사라면 747SP를 도입해야 할 메리트는 조금도 없었습니다.


운영진으로서 말씀드리는데, 가능하면 코멘트에 반응을 해 주시는 것도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Board Menu

목록

Page 295 / 30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SiteOwner 2024-09-06 272
공지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SiteOwner 2024-03-28 195
공지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SiteOwner 2024-03-05 216
공지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

613
  • update
마드리갈 2020-02-20 3888
공지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

2
  • file
마드리갈 2018-07-02 1021
공지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

2
SiteOwner 2013-08-14 6009
공지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하네카와츠바사 2013-07-08 6624
공지

오류보고 접수창구

107
마드리갈 2013-02-25 12128
103

네이버, 멜론은 왜 곡 서비스를 제대로 하지 않는겐가 ㅠㅠ

2
aspern 2013-03-16 173
102

어머니 카메라에 희안한 일이 벌어졌습니다.

2
대왕고래 2013-03-15 229
101

문제의 졸업사진.jpg

3
aspern 2013-03-15 186
100

하루의 식빵 굽기

3
처진방망이 2013-03-15 379
99

랑콤 마스카라 사용 사진!

2
프리아롤레타냐 2013-03-15 414
98

재검일이 참 미묘하군요.

2
aspern 2013-03-15 282
97

정오에 기상하면 생기는 현상

2
대왕고래 2013-03-15 140
96

머루 이 녀석, 어머니가 되었다고 주인까지 경계하네요.

3
처진방망이 2013-03-15 239
95

최근 신체변화 이야기

28
마드리갈 2013-03-15 565
94

독서실 책상이 참 좋더군요

2
aspern 2013-03-14 325
93

일하다 생각난 뭔가 정말 바보같은 디자인 플랜....

3
벗헤드 2013-03-14 177
92

마인크래프트 1.5가 나왔습니다

3
KIPPIE 2013-03-14 392
91

어떤 회상

3
벗헤드 2013-03-14 144
90

가끔 진짜 탈덕은 없구나..라고 생각합니다

15
aspern 2013-03-14 304
89

이번 심시티 어떤가요?

4
aspern 2013-03-13 153
88

내일부터 인간 비료살포기가 되어야 합니다.

3
처진방망이 2013-03-13 242
87

ah.. 인강 다 받으려면 5시간이나 있어야 한다니

13
aspern 2013-03-13 189
86

영농인 망신은 중간도매상이 하네요.

5
처진방망이 2013-03-13 332
85

북한이 쓰는 어휘를 보면 말이죠+3평 결과를 보며

9
aspern 2013-03-13 251
84

초등생까지 성범죄를 저지르다니, 아... 할말을 잊었습니다.

8
처진방망이 2013-03-13 301

Polyphonic World Forum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