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to content
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맑아질 수 없는 하늘이 일상으로 되려나...

마드리갈, 2019-03-06 14:48:21

조회 수
128

연일 흐린 날씨가 계속되고 있어요.
이게 그냥 흐린 날씨라면 그려니 하겠지만, 주원인이 대기중에 가득한 먼지인 점에서 불쾌감과 답답함이 지속되고 있어요. 미세먼지 농도는 관측이래 최악이라고 하는데, 이런 추세로 가면 맑아질 수 없는 하늘이 일상으로 정착하는 게 아닌가 하는 불안감마저 들고 있어요.

이전에는 다소 뿌연 하늘, 목이 따갑고 코와 입 속에서 각각 먼지의 냄새와 맛을 느끼는 상태가 황사가 심할 때의 봄의 불쾌한 날의 경험인데, 이것은 일상의 일부로 정착하고 있어요. 하지만 계속 창문을 닫고 있으면 산소가 부족해지기에 환기를 안 시킬 수 없는 것이고, 그러니 먼지는 피할 수도 없어요. 공기청정기를 사용한다고 해도 어느 정도 저감은 가능하지만 완벽한 대책은 될 수 없는데, 관계당국이 과연 근본적인 문제에는 얼마나 천착하고 있는 것일지 회의적이기도 해요.

이전에 쓴 글인 먼지 속 생활 속에 잊혀지는 "금수강산" 의 작성 시점에서 아직 1년도 되지 않았지만 상황은 나아지기는커녕 악화되기만 하고 있어요. 이게 우리가 경험중인 현실이라는 게 떨떠름하네요. 입안의 느낌에만 한정되지 않고.
마드리갈

Co-founder and administrator of Polyphonic World

2 댓글

대왕고래

2019-03-10 03:33:43

대한민국은 10년 전에는 봄과 가을이 뚜렷했어요. 요즘은 봄과 가을은 몇주 정도만 유지되고 바로 여름과 겨울로 연결되는 거 같더라고요. 사계절이라는 단어가 사라지지 않을까 하고 생각하게 되죠. 이 지역만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이 글과 관련없어 보이는 이 이야기를 꺼낸 건, 며칠 전에 뿌옇게 변한 하늘을 보고서 제가 생각한 것 때문이었어요.

"사계절이 사라진 대한민국에, 이젠 푸른 하늘마저도 사라지는 걸까?"

마드리갈

2019-03-10 16:32:58

이렇게 계절의 구분도 모호해지고 푸른 하늘도 보기 힘들어지고...

이게 전국적인 문제로 되어가고 있는 게 정말이지 걱정스럽지 않을 수가 없게 느껴지고 있어요.

사실, 대왕고래님께서 언급해 주신 건 관련이 없진 않아요. 미세먼지 또한 온실효과에 기여하거든요. 그래서 계절 구분이 이상하게 이어지는 데에도 일조하고 그렇죠.


후회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뭔가 특단의 조치가 있어야 하는데, 과거의 사고공화국처럼 이런 것도 그냥 일상화된 문제니까 사실상 체념하자는 방향으로 암묵적인 공감대가 형성되는 게 아닌가 싶기도 해요.

Board Menu

목록

Page 1 / 28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5월 이후로 연기합니다

SiteOwner 2024-03-28 116
공지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SiteOwner 2024-03-05 134
공지

2023년 국내외 주요 사건을 돌아볼까요? 작성중

10
마드리갈 2023-12-30 320
공지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

609
  • update
마드리갈 2020-02-20 3801
공지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

2
  • file
마드리갈 2018-07-02 948
공지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

2
SiteOwner 2013-08-14 5900
공지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하네카와츠바사 2013-07-08 6529
공지

오류보고 접수창구

107
마드리갈 2013-02-25 11037
5740

문해력 논란과 드래곤 사쿠라

2
  • new
Lester 2024-06-30 13
5739

6월 28일 퇴사한 사람 이야기

2
  • new
대왕고래 2024-06-29 27
5738

음덕질은 예상외의 시행착오 투성이

2
  • file
  • new
마키 2024-06-28 27
5737

친족상도례(親族相盗例), 도입 71년만에 헌법불합치

2
  • new
마드리갈 2024-06-27 31
5736

이사가 끝났군요.

4
  • new
시어하트어택 2024-06-26 38
5735

노토반도지진이 보인 구내진기준(旧耐震基準)의 취약점

  • new
마드리갈 2024-06-26 29
5734

군인 비하에는 상하가 따로없는 세태

7
  • new
SiteOwner 2024-06-25 57
5733

변동가능한 기준으로 만들어지는 문헌의 문제

2
  • new
마드리갈 2024-06-24 46
5732

"영남 남인의 예법" 이라는 발언

2
  • new
마드리갈 2024-06-23 58
5731

'제 환경에서 나가주시죠'... 또 사고친 환경단체 (+추가)

4
  • new
Lester 2024-06-22 80
5730

새벽에 간단한 이야기 몇가지.

2
  • new
마드리갈 2024-06-21 65
5729

집 계약을 하고 왔습니다.

4
  • new
시어하트어택 2024-06-20 73
5728

취미도 굿즈도 미쿠미쿠 하게 해줄게

4
  • file
  • new
마키 2024-06-19 114
5727

[작가수업] 왜 홈즈였는가, 왜 GTA였는가 (2/2)

4
  • new
Lester 2024-06-19 68
5726

[작가수업] 왜 홈즈였는가, 왜 GTA였는가 (1/2)

4
  • new
Lester 2024-06-18 69
5725

묘하게 발달하는 감각

2
  • new
마드리갈 2024-06-18 57
5724

폴리포닉 월드의 시스템은 독재자나 철인(哲人)을 전제하는가

2
  • new
마드리갈 2024-06-17 61
5723

최종적으로 퇴사를 마쳤습니다.

4
  • new
국내산라이츄 2024-06-16 79
5722

꿈 속에서 봤던 한국언론의 미래상

4
  • new
마드리갈 2024-06-15 82
5721

신칸센 닥터옐로우의 퇴역 카운트다운

8
  • file
  • new
SiteOwner 2024-06-14 178

Polyphonic World Forum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