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to content
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恥の多い生涯を送ってきました。
自分には、人間の生活というものが、見?つかないのです。
부끄럼 많은 생애를 보냈습니다.
저는 인간의 삶이라는 것을 도무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

다자이 오자무, "인간실격"의 첫 문장




(개인적인 이야기가 많아 티타임에 작성할까 했는데, 같이 논할 주제가 많은 것 같아서 결국 여기에 작성합니다.)


지금은 하도 TV를 안 봐서 어떤지 모르겠는데,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인문학 열풍이 굉장했습니다. 특히나 "취업 안 되는 문사철~♬"이라는 소리를 심심찮게 들었던 사학과 출신(정확히는 인문학부(사학) -> 사학과로 통폐합&흡수)으로서 이런 열풍은 정말 큰 희망(?)을 줬습니다. 솔직히 옛날에 읽었던 서양 문화를 소개하는 책자들에서 봤던 것처럼 '드디어 우리나라에서도 인간다움이라는 게 귀하게 여겨지는가!'하고 찬탄했던 적도 있을 정도입니다.


=================================================================


그런데 어째서인지(혹은 당연하게도) 인문학 열풍이라기엔 분위기가 시원찮았습니다. 분명히 인문학이 트렌드가 된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서점에 인문학 서적이 그득하게 쌓였고, 극소수의 스타 강사들이 곳곳에서 강연을 하고 다녔으며, 기업계에서도 눈독을 들인다던 인문학은 그냥 구색 맞추기로 전락했죠. 게다가 셋 다 엄청난 위험을 내포하고 있었습니다.


인문학 서적 판매의 경우, 그나마 사람들이 인문학을 쉽게 접할 수 있는 창구 중 하나가 되긴 했습니다. 하지만 '인문학'이라는 깃발 아래에 온갖 어중이떠중이 작가들이 모여들었고, 이 상황에서 무엇이 인문학이고 아닌지 분류하는 사람도 없다보니 인문학이 전혀 아닌 것들이 인문학으로 둔갑하여 팔리기도 했습니다. 심지어 자기개발서와 인문학을 합친 물건도 있었던 기억이 나네요. (다만 후술하겠지만 이건 틀리지 않았다고 봅니다. 어디까지나 정도의 차이일 뿐)


극소수 스타 강사들의 문제는 더 심했습니다. 인문학 서적이야 시간 날 때 들여다보거나 하는 식으로 작가와의 거리가 제법 있는 편입니다. 하지만 강연은 방청객들이 강사의 이야기를 현장에서 듣는 만큼 그 거리가 훨씬 가깝습니다. 그리고 강사의 언변이 얼마나 화려한지에 따라 더더욱 몰입할 수 있죠. 선을 잘못 넘으면 괴벨스마냥 선동이 되지만 말입니다. 특히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모 강연자의 경우 꾸짖는 듯한 말투가 꽤 인상적이었는데, 이쯤 되면 종교인이 아닌가 싶습니다. 경전보다 설교자를 더 숭상하는 그 쪽 인간들처럼 말이죠. 텔레비전에 나온 '사짜'를 알아보는 법(다음 기고글)에서는 강사의 학력&학력위조를 중심으로 삼긴 했지만 이 역시 인문학 그 자체보다는 강사가 강연의 중심이 된다는 점에서 일맥상통합니다.


기업계의 인문학은 더 참담했어요. 사실 합리성을 중시하는 기업계에서 인문학은 꽤나 어색하고 설 자리가 애매하긴 합니다. 그래서 기업계에서 추구한 인문학은 '어떻게 해야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는가' 하는 마케팅적인 측면이 강했지, 정말로 '인간이란 무엇인가' 같은 의문이나 인상은 거의 없었습니다. 그마저도 정말로 인간이 마음을 사로잡는 전략을 만드는 법을 연구하기보단, 그냥 '저희 회사는 인문학을 활용합니다' 같은 홍보에 그친 경우가 대다수였죠. 저 역시 이런 측면에 이용(?)당한 바 있고요. 뭐 필요하다고 해서 응한 것이라 별 상관은 없지만, 말로는 인문학을 중시한다면서 행동으로는 인문학을 천대하는 부조리만큼은 꽤나 불쾌했네요. 그냥 아무 말도 안 했다면 더 좋았을 텐데 말이죠.


=================================================================


시간이 흐른 후 지금의 저는 게임번역가라서 인문학과 관계가 없을 거라 생각했습니다. 이 글을 쓴 계기도 아래에 시어하트님이 쓰신 586의 집착에 관한 글('독서하다 보니 문득 드는 생각.')을 읽으면서 '낭만적 민족주의'에 대해 생각하고 댓글을 달기 위해 도올 김용옥의 과거 중국 공산당에 대한 우호적 해석과 그에 경악하는 조승연의 대비를 인용하려던 차에,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작가였던 조승연도 '사실 대중을 기만하는 인문학 장사꾼이 아니냐'란 비판을 접해서였습니다(위의 다음 기고글 참고).


애초에 인문학의 특징이 옳다고 생각하는 당대의 이론이 역사의 큰 흐름 속에서는 찰나에 불과하다는 것이긴 하지만, 그 비판을 읽고 잠깐 조승연에 대해 비판적 사고를 하려다 갑자기 "네가 뭐가 잘났는데?"라는 의문이 든 것이죠. 그리고 '너도 인문학 좀 배웠다는 주제에 인문학에 대해 뭐 제대로 아는 것도 없잖아? 네가 진짜 인문학을 알기는 하냐?'라는 생각까지 가지가 뻗쳤습니다. 원체 부정적인 생각을 쉽게 하는 성격이라 "그래도 주제파악을 잘하는 것이 인문학의 가장 큰 장점이다."라는 자조 섞인 결론으로 마무리짓긴 했지만, 한편 우리나라에서 인문학이 취급받는 처지를 생각해보면 마냥 웃을 수만은 없더군요.


=================================================================


그렇게 생각을 정리하고 끝내려다 문득 새로운 생각이 들었습니다. "인문학을 저렇게 떠들썩하게 설교하는 것도 인문학으로서 올바른가?" 제가 대학에서 역사를 공부하거나 그 밖의 독서에서 이런저런 철학이나 몇몇 사상을 수박 겉핥기로나마 접했습니다만, 대부분의 공통점은 '잘난 척하지 마라'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이것은 종교도 마찬가지더군요.) 그런데 위에서 제가 그런 모 스타 강사에 대해 "종교인"이란 표현을 쓰기도 했고, 그렇게 세상에서 제일 잘난 듯이 설법하며 자만하는 것이 일단 올바른 태도는 아닙니다.


물론 학자라면 자신의 철학이나 사상을 내놓아서 입증할 필요와 책임이 있기는 합니다. 실제로 학계나 몇몇 분야의 위인들은 사회적으로 지탄을 받더라도, 심지어 훗날에는 틀렸음이 밝혀지더라도 묵묵히 제 갈 길을 가며 주장을 지켜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저런 인문학 강사들을 보면 스스로 어떤 주장을 정립하고 증명한다기보다는, 이미 존재했던 과거의 지식들을 세상 흐름에 맞춰서 소개하는 수준에 불과합니다. 좋게 말하면 큐레이터고, 나쁘게 말하면 약장수죠. 특히 이건 지식 컨텐츠라는 이름으로 3분 요약이니 뭐니 하면서 단편적인 정보만을 제공하여 사람들이 논리적으로 판단하지 못하게 막아버린 유튜버들과도 통하는 부분입니다.


뭐 어지간한 사상은 이미 과거에 다 나와 있다보니 현대인이 할 수 있는 게 별로 없기는 합니다. (인간을 창조하는 것과 비슷한 인공지능 제작은 논외로 치겠지만요.) 하지만 그렇다고 자기 것도 아닌 지식을 자기 것마냥, 그것도 제대로 검증하지 않고 팔아제끼는 만행은 선을 지켜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라면 제대로 된(?) 인문학 컨텐츠를 만들어서 팔아먹을 자신이 아주 없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저는 애초에 돈 버는 재주가 별로 없다보니, 차라리 개인 수양으로 만족하는 게 나을 것 같습니다. 저는 희생을 감수하면서까지 세상을 바꾸는 성인이 아니고, 그렇다고 세상을 바꿀 만한 이론을 만들 수 있는 학자도 아니며, 지금까지 비판했던 지식 장사치는 더더욱 아니니까요. 설령 저에게 역량이 있다고 한들, 주위 사람들에게 진심어리고 도움이 되는 충고 몇 마디를 건네는 것 정도가 오만을 부리지 않을 수 있는 한계인 것 같습니다.


=================================================================


SNS에 '작업이 끝나면 지금 책장에 있는 인문학 서적들을 날 잡고 읽어봐야겠다'고 했는데, 유감스럽게도 대규모 작업이 끝나질 않아서 도무지 학구적 즐거움을 얻을 수가 없네요. 계속 이런 상태이다 보니 포럼에서 이런 얘기를 꺼내는 것도 왠지 요즘 말로 아무 말 대잔치 하는 것 같아서 조심스러워집니다.


오늘(12월 30일)은 2022년의 마지막 바로 전 날입니다. 이틀 뒤면 2023년이 시작될테고 그 때는 새로운 일들이 또 벌어지겠죠. 성남에 올라온 지는 3년인지 4년인지가 됩니다. 인문학을 떠나서 저 자신은 올라오기 이전에 비해, 올라온 직후에 비해 나아졌을까요? 나아졌기를 바랍니다. 인문학에서 발전하지 않는 사람만큼 쓸모 없는 부류도 없으니까요.


만약을 위해 포럼 분들의 모든 분들께 인사를 올려두겠습니다.

늦었지만 메리 크리스마스. 그리고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나는 불현듯 겨드랑이가 가렵다. 아하, 그것은 내 인공의 날개가 돋았던 자국이다. 오늘은 없는 이 날개. 머릿속에서는 희망과 야심이 말소된 페이지가 딕셔너리 넘어가듯 번뜩였다. 나는 걷던 걸음을 멈추고 그리고 일어나 한 번 이렇게 외쳐 보고 싶었다.

날개야 다시 돋아라.
날자. 날자. 한 번만 더 날자꾸나.
한 번만 더 날아 보자꾸나.

-----------------------------------------------------------------

이상, "날개"의 마지막 문장

Lester

그거 알아? 혼자 있고 싶어하는 사람은 이유야 어쨌든 고독을 즐겨서 그러는 게 아니야. 사람들한테 계속 실망해서 먼저 세상에서 모습을 감추는 거야. - 조디 피코

4 댓글

마드리갈

2022-12-30 15:16:41

인문학이라는 게 바로 그거죠. 인간을 이해하고 인간으로서 무엇을 알고 생각하고 행동에 옮겨야 하는가를 아는 여러 방법. 문학은 그것을 담는 그릇인 언어에 대한, 역사는 시대에 걸쳐 인간이 이루어낸 것에 대한, 철학은 그러한 것에 대한 방법론을 다루는. 결국 레스터님께서 지적하셨던 그 스타강사들은 인문학의 편린에 대해서는 어떻게 소개는 해 주었지만 그 이상의 것은 하지 않았다는 것이죠. 사실 그들의 역할은 딱 거기까지였을지도 모를 일이고 그것 자체를 비난할 수는 없지만 그것이 인문학의 무엇(what)과 어떻게(how)는 구성할지라도 궁극적인 요소인 왜(why)까지는 이르지 못한다는 한계도 같이 담고 있어요. 사실 그것까지 접근할 수 있는 건 역사에 남는 위대한 사상가들이라도 쉽게 말할 수 없는 것이기도 해요. 사실 왜(why)는 인문학을 접하는 사람들에게 일신전속적인 과제일 가능성이 매우 높아요. 개인이 처한 환경 및 걸어온 길과 갈 길은 모두 다르다 보니.

이렇게 생각해 본다면 레스터님께서 생각하신 것은 그 왜(why)에 대해서 상당히 깊게 들여다보고 계신 것이라는 결론이 나게 되어요. 그리고 인문학 전공자로서의 레스터님께서는 하나의 성공을 거두신 거예요. 그것에 대해 충분히 긍지를 가질만하죠. 그렇지 않나요? 최소한 저는 그렇게 보고 있어요.


레스터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Lester

2023-01-01 00:57:28

일단 제가 전공했던 역사는 근본적으로 '과거를 통해 현재와 미래에서 합당한 선택을 내리는 것'이 목표에 가깝고, 문학과 철학 역시 거기서 벗어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문학은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고전 혹은 명작일수록 당시 시대상을 담아내는 것들이 많으며, 이는 철학도 마찬가지니까요. 하지만 소위 스타 강사들은 그저 대중의 입맛에 맞는 주제만을 주워섬기거나, 그마저도 잘못된 정보를 인용하면서까지 잘난 척에 치중했다는 게 문제입니다. 자기 자신조차 모르는 사람이 어떻게 남을 가르치겠는가 싶은데 돈벌이를 위해서라면 뭐든 상관없는 세상이 되어버린 것 같아 한심해서 글을 썼지만 막상 저 자신도 그 나물에 그 밥 아닌가 싶더라고요. 그래도 이해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네, 마드리갈님께서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

SiteOwner

2022-12-31 20:44:42

세상에는 소피스트도 있는 법이고 철인(哲人)도 있는 법이지 않겠습니까.

소피스트에게는 소피스트가 할 일이 있고 철인에게는 철인이 할 일이 있습니다. 소피스트로 살아온 저의 입장에서 자기합리화일지도 모르겠지만 말이지요. 지금까지 학원강사, 통역사 등을 거쳐 법인영업 분야에 이르기까지 종사업무가 변천해 오긴 했지만 저의 일은 변함없이 소피스트였습니다.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거나, 서로 다른 언어를 가진 사람들을 이어주거나, 소기의 성과를 거둘 것을 목적으로 상대를 설득하거나 하는 것들 모두 소피스트의 영역입니다. 그래서 저는 한때 유행했던 그런 인문학 강사들도 기본적으로 나쁘지는 않다고 봅니다. 중요한 것은 바로 형이상학적인 영역. 그건, 무책임한 이야기일 것 같습니다만, 역시 그러합니다. 자신의 영역이라는 것.

중요한 것은, 말씀하신 것처럼 대중을 기만하지 않는 것이겠지요. 그러합니다.


좋은 말씀에 감사드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Lester

2023-01-01 01:03:39

본문 내내 소피스트스러운 사람들을 까기는 했지만, 막상 생각해보면 세상을 바꾼 건 그런 행동력이 넘치는 사람들이 아니었나 싶기도 합니다. 그래서 소피스트가 못났다, 이런 결론을 내리고 싶진 않아요. 누군가는 총대를 메야 하니까요. 문제는 이경규 말대로 무식한 사람이 신념을 가지면 무섭다고, 자기수양이 부족한 사람이 지성인과 계몽을 자처하며 선동을 일삼는 사람이 있다는 겁니다. 저로서는 아닌 건 아니라고 하고 싶은데, 세상 사람들은 돈벌이나 믿음의 대상이 더 중요해서인지 어물쩍 넘어가더군요(위 기고문에서 과거 댓글은 작가의 통찰력에 찬성하지만, 최신 댓글로 갈수록 '우리 강사님 욕하지 마라'로 바뀌는 게 대표적입니다). 저 자신도 아직 부족한 점이 많아서 차마 당당하게 비판하기도 그렇고, 정확히는 그 사람들이 어떻게 되든 제 알 바 아니라는 점이 더 크지만요. 어차피 점점 개인주의로 바뀌는 세상, 저나 잘 하면 그만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부족한 글을 고평가해주셔서 감사드릴 따름입니다. 사이트오너님께서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

Board Menu

목록

Page 39 / 29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SiteOwner 2024-09-06 236
공지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SiteOwner 2024-03-28 187
공지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SiteOwner 2024-03-05 214
공지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

613
  • update
마드리갈 2020-02-20 3880
공지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

2
  • file
마드리갈 2018-07-02 1015
공지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

2
SiteOwner 2013-08-14 6004
공지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하네카와츠바사 2013-07-08 6614
공지

오류보고 접수창구

107
마드리갈 2013-02-25 12109
5197

국내의 검열풍조가 김여정의 욕질을 무효화할 수도?

2
SiteOwner 2023-01-13 118
5196

이름 자체가 스포일러인 캐릭터

6
  • file
마키 2023-01-12 162
5195

JR 출범후에 입사하여 JR토카이의 사장이 된 니와 슌스케

2
SiteOwner 2023-01-11 120
5194

2023년의 연간 프로젝트

4
  • file
마키 2023-01-10 159
5193

감시자는 누가 감시하는가?

7
Lester 2023-01-09 181
5192

옥토끼를 찾아 나서는 한국과 일본의 달 탐사 프로젝트

4
  • file
SiteOwner 2023-01-08 151
5191

간만의 이상한 꿈에 신경이 곤두서 있었습니다

5
SiteOwner 2023-01-07 162
5190

영어가 아닌 한자어, 한자어가 아닌 영어

5
대왕고래 2023-01-06 137
5189

선택적인 정의감과 비판의식에 대해서 몇 마디

4
SiteOwner 2023-01-05 140
5188

그러고 보니 국내 라면의 역사도 올해로 60년입니다

2
SiteOwner 2023-01-04 116
5187

대체 언제까지 노스트라다무스를...

4
SiteOwner 2023-01-03 142
5186

에코테러리즘이 내놓은 잘못된 해답

13
마드리갈 2023-01-02 219
5185

새해를 맞아 이것저것.

4
  • file
시어하트어택 2023-01-01 139
5184

2023년 신년인사

6
SiteOwner 2023-01-01 218
5183

2022년 송년인사

8
마드리갈 2022-12-31 267
5182

2022년 국내외 주요 사건을 돌아볼까요?

4
마드리갈 2022-12-30 368
5181

한 명의 반쪽이 인문학도로서, 새해를 앞둔 잠깐의 회고

4
Lester 2022-12-30 152
5180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에 대하여 2 - 개략적인 정보

2
  • file
SiteOwner 2022-12-29 135
5179

독서하다 보니 문득 드는 생각.

6
시어하트어택 2022-12-28 198
5178

올해는 건강 측면에서도 별일이 다 있었네요

2
마드리갈 2022-12-27 119

Polyphonic World Forum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