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ZXEVJVLBJVFDZMJ3SJVQKZBCSE.jpg (77.1KB)
올해 들어서 중국으로 팬더를 돌려보낸다는 소식이 자주 들리고 있죠.
그것도 중국에서 태어난 팬더 이외에도 일본에서 태어난 개체까지. 전혀 이해되지 않았던 이 사안에 대해서 "모든 팬더는 중국에 소유권이 있다" 라는 걸 알고 적잖게 당황하기도 했어요.
조금 더 들여다볼께요.
중국 이외의 국가에 있는 팬더의 현황은 이렇다고 하네요.

이미지 출처
中 ‘판다 외교’의 종말...시진핑 ‘늑대전사’ 외교에 줄줄이 중국 반환, 2023년 4월 14일 조선일보 기사
사육도 번식도 극히 힘들고 유지비도 많이 드는 팬더는 어디서 태어났든간에 중국의 소유물.
그나마 코로나19 판데믹 이전에는 팬더를 보러 오는 관람객들이 많았으니까 사정이 나았지만 관람객 수가 격감한 지금은 극소수의 동물을 위해 터무니없이 많은 돈을 지출할 여력 자체가 없고 언젠가는 중국에 반환해야 하는 상황이니 이 참에 영원히 중국으로 돌려보내는 게 이익일 공산이 확실히 커졌어요.
게다가 요즘의 중국외교는 먼저 싸움을 거는 이른바 전랑외교(戦狼外交). 이러니 조기반환을 하는 국가들이 속속 나타난다고. 이건 생각도 못했는데 과연 그렇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런데 자신들의 것이 자신들의 수중에 들어오면 좋아해야 할 중국이 왜 핀란드의 팬더 조기반환을 굴욕으로 받아들이는 것인지 그게 이상하네요.
팬더의 소유권이 모두 중국에 있는 것도 이상하지만 중국의 것이 중국에 돌아가는 게 중국에게 굴욕으로 여겨진다는 건 더 이상하죠. 그래도 어쩔 수 있나요. 그들이 선택한 길인데, 그들이 알아서 해야죠.
Co-founder and administrator of Polyphonic World
목록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2024-09-06 | 283 | |
공지 |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
2024-03-28 | 197 | |
공지 |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
2024-03-05 | 225 | |
공지 |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613
|
2020-02-20 | 3891 | |
공지 |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2
|
2018-07-02 | 1024 | |
공지 |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2 |
2013-08-14 | 6015 | |
공지 |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
2013-07-08 | 6626 | |
공지 |
오류보고 접수창구107 |
2013-02-25 | 12130 | |
5309 |
세계최초의 민간 달탐사선의 달착륙 그리고 앞으로8 |
2023-04-26 | 200 | |
5308 |
감시자는 누가 감시하는가? (해답편)6 |
2023-04-25 | 159 | |
5307 |
지금 국내언론이 버즈피드(BuzzFeed)를 비웃을 때인지...3 |
2023-04-24 | 147 | |
5306 |
나는 일요일 인섬니아(私は日曜日インソムニア)2 |
2023-04-23 | 126 | |
5305 |
핀란드화의 끝과 독일화의 시작2
|
2023-04-22 | 136 | |
5304 |
같은 멜로디의 다른 노래 23. 하이든의 현악사중주 황제2 |
2023-04-21 | 137 | |
5303 |
갸루(ギャル, Gal)를 굳이 여러 역어로 옮길 필요가...?2
|
2023-04-20 | 130 | |
5302 |
인도가 세계 인구대국의 정상에 등극했다2 |
2023-04-19 | 133 | |
5301 |
"아무래도 형이 먼저 죽어야죠" 라고 말했던 후배4 |
2023-04-18 | 136 | |
5300 |
외국어로 이름짓기6
|
2023-04-17 | 181 | |
5299 |
[작가수업] From the Beginning... (+ 근황)4 |
2023-04-16 | 142 | |
5298 |
미디어믹스의 캐릭터가 원작으로 편입된 경우4 |
2023-04-15 | 159 | |
5297 |
목성 및 주변위성탐사선 JUICE, 지구를 떠나다2
|
2023-04-15 | 130 | |
5296 |
몇 가지 이야기.3
|
2023-04-14 | 130 | |
5295 |
중국의 팬더외교 속 복병2
|
2023-04-14 | 121 | |
5294 |
실이 갑자기 끊어진 듯한 느낌이군요 (근황)6 |
2023-04-13 | 175 | |
5293 |
수염이 진짜 싫습니다2 |
2023-04-12 | 125 | |
5292 |
형평과 선(Ex aequo et bone)의 역설2 |
2023-04-11 | 125 | |
5291 |
노트북을 고르기까지의 이야기.2 |
2023-04-10 | 134 | |
5290 |
영국군의 내한훈련에서 생각난 것들2
|
2023-04-09 | 120 |
2 댓글
대왕고래
2023-04-18 21:27:44
보통은 저런 동물을 기증할 때는 그냥 기증하거나 아니면 무슨 거래로 주고받거나 하는게 정상일텐데, 거기 있어도 우리거라는 논리는 어이가 없네요.
저렇게 해서까지 팬더를 받아야 했을까 싶기도 하고...
마드리갈
2023-04-18 21:33:47
정말 징그럽기 짝없는 논리죠. 그리고 그렇게 모든 팬더는 중국의 것이라고 하면서 그 팬더는 결국 중국 이외의 국가들이 다 지불해야 하고, 동물원 측에서 반환하니까 원래 자기 물건이라 선언한 게 돌어오면 좋을텐데도 굴욕으로 여기고, 대체 뭘 먹고 살면 저렇게 생각할 수 있는지 모를 일이예요.
세계 최대 인구를 기록하는 중국이니까 전세계가 혹했고 또한 팬더의 귀여운 이미지에 많이 속았죠.
하지만 팬더는 날카로운 이빨과 발톱을 지닌 맹수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