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to content
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금자보호한도는 이번에 올라갈 것인가

마드리갈, 2024-11-13 17:33:12

조회 수
116

우리나라의 예금자보호제도는 1995년에 예금보험공사가 설립되면서부터 시작되어 내년인 2025년에 제도 정착 30년을 맞게 되어요. 그런데 이게 한 금융기관당 1인당 원금 및 소정의 이자를 포함한 총액을 5000만원까지 보장하는 것이라서 금융자산이 크게 증가한 오늘날의 현실에는 이 한도의 적절성에 의문이 있어요.

이번에 여야합의로 예금자보호한도가 5천만원에서 1억원으로 배증되는 에금자보호법 개정안이 처리된다고 하네요. 기사를 소개할께요.

일단 상향된다는 것은 원론적으로 반길 일이기는 해요.
그런데, 국민대차대조표 및 인구상황을 대조해 보면 미묘한 감을 떨칠 수가 없네요. 그러면 최신자료인 2023년 기준 국민대차대조표(바로가기) 및 주민등록인구(바로가기)를 보고 판단해 보겠어요. 국민순자산 중 금융자산은 2경 2899조원이고 그 중 순금융자산은 전체의 4.5%인 1045조원. 같은 해의 주민등록인구는 51,325,329명. 이것을 토대로 계산해 볼 경우 금융자산을 인구로 나누면 446,153,984원 이내로 나오고 순금융자산에 같은 방식을 적용할 경우 20,360,318원 이내인 것이 드러나고 있어요. 그래서, 총금융자산 레벨에서는 턱없이 부족한 게 보여요. 물론 저 금융자산이 모두 개인자산인 것은 아니지만...

상향수준이 과연 충분한지, 금융자산 중 부채의 비율이 95.5%나 되는 상황에서 이 부채에 대해 얼마나 충실한 대책이 갖추어질지, 그리고, 이건 정말 일어나면 안되는 사태이긴 하지만, "고객의 예금은 보호하지 못하지만, 채무는 철저히 보호대상이므로 어떠한 경우라도 변제해야 한다" 라는 식의 분쟁이 일어나는 상황에서는 어떻게 대응할지에 대해 생각해 놓지 않으면 안될 거예요. 실제로 금융기관의 구조조정 및 은행의 명멸은 계속 있어온 일이니까요.

그나저나, 이제는 여야합의가 가능하긴 하네요.
이 사안에 대해 부자를 위한 정책이라고 발목잡지 않는 것을 보니 놀랍네요. 일단 오늘 해는 서쪽으로 지고 있지만.
마드리갈

Co-founder and administrator of Polyphonic World

3 댓글

대왕고래

2024-11-27 00:15:40

어릴적부터 궁금하긴 했어요. "5천만원까지 보장한다는 말은, 내가 1억을 맡겨도 재수없으면 5천만원까지밖에 못 건지는 거 아닌가? 은행마다 5천만원까지만 넣어야 하는걸까?" 하고요.
한도가 없으면 그만큼 모종의 상황에 대해 나가야 하는 돈이 많아지니 그걸 한도를 걸었다는 건 이해되었지만요. 그래도 한도가 낮은 건 조금 그런 기분이 없잖아 있네요.

마드리갈

2024-11-27 21:41:08

말씀하신대로 1인당 한 은행 최대 5000만원까지만 보장한다는 것이 현행제도의 골자인데, 이게 제정당시에는 그나마 꽤 후한 편이었지만 인플레이션 및 경제성장으로 인한 자산규모의 증대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현실을 따라가지 못하는 뒤처진 제도로 전락하고 말았어요. 그런데 이번의 것도 충분한가를 생각해 보면 약간 그렇네요. 그냥 기존이 부족하니까 상한을 배증하면 만사형통이라고 생각하는 게 아닐지. 사실 이런 사고방식이 면세점 구매한도는 상향시켜놓고 면세한도는 거의 손대지 않은데다 그나마 인심을 썼다고 하는 분야가 소비를 확대해서 좋을 게 별로 없는 주류에 대한 1인 2병 용량총합 2리터 및 가격총합 400달러 이하로 확대한 정도니...


수년 안 가서 저 제도를 또 손보겠다고 난리칠 것 같네요. 그리고 정파에 따라서 저걸 손대면 부자에게 유리할 거라느니 노블레스 오블리주에 어긋날 거라니 하는 정쟁을 제기할 것도 보이고. 그런데, 경제가 무너지면 가난한 사람들부터 죽어요.

마드리갈

2025-01-13 23:45:08

[내용추가중]

Board Menu

목록

Page 5 / 29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SiteOwner 2024-09-06 240
공지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SiteOwner 2024-03-28 193
공지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SiteOwner 2024-03-05 216
공지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

613
  • update
마드리갈 2020-02-20 3884
공지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

2
  • file
마드리갈 2018-07-02 1019
공지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

2
SiteOwner 2013-08-14 6007
공지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하네카와츠바사 2013-07-08 6618
공지

오류보고 접수창구

107
마드리갈 2013-02-25 12115
5891

근황 정리 및 기타.

4
Lester 2024-11-17 146
5890

그럴듯하면서도 함의가 묘한 최근의 이슈

2
SiteOwner 2024-11-16 113
5889

이것이 마요나카 철도 사무국의 진심입니다!

4
  • file
마키 2024-11-15 167
5888

홍차도(紅茶道)

2
마드리갈 2024-11-14 111
5887

예금자보호한도는 이번에 올라갈 것인가

3
  • update
마드리갈 2024-11-13 116
5886

마약문제 해결에 대한 폴리포닉 월드의 대안

2
마드리갈 2024-11-12 110
5885

이번 분기의 애니는 "가족" 에 방점을 두는 게 많네요

2
마드리갈 2024-11-11 112
5884

방위산업 악마화의 딜레마 하나.

SiteOwner 2024-11-10 108
5883

"N" 의 안일함이 만들어낸 생각없는 용어들

2
SiteOwner 2024-11-09 118
5882

트럼프 당선 & 수능과 교육 이야기

4
Lester 2024-11-08 180
5881

있는 법 구부리기

4
SiteOwner 2024-11-06 213
5880

고토 히토리의 탄식

2
  • file
마드리갈 2024-11-05 111
5879

금융투자소득세 폐지로 가는 건 일단 맞게 보이네요

3
마드리갈 2024-11-04 120
5878

중국의 비자면제 조치가 도움이 될지?

8
  • update
마드리갈 2024-11-03 202
5877

아팠던 달이 돌아와서 그런 것인지...

2
마드리갈 2024-11-02 108
5876

"임기단축 개헌" 이라는 그 이타주의

2
SiteOwner 2024-11-01 115
5875

"법관 출신 주제에" 발언이 주는 참된 교훈

2
SiteOwner 2024-10-31 117
5874

"똑같은 놈은 안되겠다" 와 "어쨌든 네놈만은 죽인다"

2
마드리갈 2024-10-30 120
5873

오랜 담론에서 간혹 읽히는 심술

2
SiteOwner 2024-10-29 114
5872

러시아군에 충원되는 북한군에 대한 논점 몇 가지

5
마드리갈 2024-10-28 175

Polyphonic World Forum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