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박완서의 소설 "그 많은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이 제목의 유래임을 먼저 밝혀 놓을께요.
우리나라에서는 역사를 아주 중시하고 있어요.
전통문화 관련 사항이 헌법적으로 규정되어 있기도 하고, 여러 가지 자격시험에 한국사 시험문제가 직접 출제되거나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등의 별도의 시험을 쳐서 인정을 받아야 할 필요가 있는가 하면, 세계적인 경제대국인 일본과의 대립도 역사 문제가 선결과제가 되어 있어요. 이런 것만 봐도 역시 역사를 아주 중시한다는 점은 의심할 여지가 없어 보이긴 하는데, 과연 그럴까요? 최소한 저는 동의하지 못하겠네요.
일단 불과 수년 전 인터넷 사건사고의 역사를 보기만 하더라도 답이 나오지 않고 있어요.
어느 한 주장이 인터넷 세상을 달구고, 누군가를 희생양으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에 반대하면 온갖 비방중상이 날아들어요. 그런데 반례가 드러나고, 그러한 주장은 금세 자취를 감추고, 그 때의 과격한 주장에는 누구 하나 책임지지 않은채 그 결말은 용두사미가 되고 말아요. 그리고 이전의 사건이 잊혀지면 똑같은 패턴이 재현될 뿐...
조금 범위를 넓혀봐도 사안이 별로 다르지는 않네요.
당장, 6.25 전쟁에 개입해 상황을 엉망으로 만든 중국에 대해서 왜 사죄와 배상을 요구하지 않는지, 중앙아시아 한인 강제이주, 사할린 한인 억류, 민항기 납치사건 및 격추사건 등을 일으킨 소련의 승계국인 러시아에 대해서 왜 사죄와 배상의 말을 꺼내지 못하는지, 그것조차도 궁금해지네요. 역사를 중시한다면 당연히 중국과 소련/러시아의 만행에 대해서 잘 알 것이고, 그 큰 나라인 일본에 대해서도 충분히 문제를 제기할 용기가 있음이 증명된 만큼 그 나라들에 대해서도 당당하게 나서지 못할 이유가 없을텐데, 왜 그들에게만큼은 그러지 못할까요.
이렇게 역사를 아주 중시하는 듯하면서 그와 동시에 역사의 교훈 따위는 어떻게 되어도 좋다 싶은 이중적인 태도에 비판이나 반성 등이 없이, 작게는 어리석음을 반복하고, 크게는 애국심이 선택적으로 발동하는 일이 일어나는 건가 봐요. 이렇게 역사를 중시하면서 유사역사학에 열광하고 그 흐름에 쉽게 쓸려 가는 모순적인 상황도 깔끔하게 설명이 되네요.
그 많은 역사의 교훈은 누가 다 잊었을까요?
이 질문을 던져 보고 싶었어요.
Co-founder and administrator of Polyphonic World
목록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2024-09-06 | 170 | |
공지 |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
2024-03-28 | 174 | |
공지 |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
2024-03-05 | 200 | |
공지 |
2023년 국내외 주요 사건을 돌아볼까요? 작성중10 |
2023-12-30 | 362 | |
공지 |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612 |
2020-02-20 | 3865 | |
공지 |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2
|
2018-07-02 | 1003 | |
공지 |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2 |
2013-08-14 | 5975 | |
공지 |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
2013-07-08 | 6598 | |
공지 |
오류보고 접수창구107 |
2013-02-25 | 12092 | |
2978 |
일주일동안 졸업한 학교의 강사를 하게 되었습니다4 |
2017-09-20 | 152 | |
2977 |
인기없던 꼬마의 험난한 유년기에서 얻은 교훈4 |
2017-09-20 | 155 | |
2976 |
이상한 어휘 둘 - 필로폰 및 희귀병4 |
2017-09-19 | 196 | |
2975 |
용산 나들이와 그 전리품4
|
2017-09-18 | 156 | |
2974 |
그 많은 역사의 교훈은 누가 다 잊었을까2 |
2017-09-17 | 134 | |
2973 |
강제개행 때문에 소설을 안 볼 줄은 몰랐네요9 |
2017-09-16 | 266 | |
2972 |
근황 이야기4 |
2017-09-15 | 179 | |
2971 |
자동차 전시판매장에서 성역할 고정이 낳은 씁쓸한 사례4 |
2017-09-14 | 170 | |
2970 |
수중익선의 부활, 그 시작8 |
2017-09-13 | 218 | |
2969 |
경주 지진 그 후 1년, 그리고 내진에 대한 제언6
|
2017-09-12 | 256 | |
2968 |
병원에서 생각났던 1988년 6월과 9월의 어느 날6 |
2017-09-11 | 345 | |
2967 |
작품 내 설정 이야기(+기타)2 |
2017-09-10 | 137 | |
2966 |
근황 이야기.4 |
2017-09-09 | 156 | |
2965 |
2017년 3분기 애니에는 이상한 캐릭터들이 많다?!5 |
2017-09-08 | 205 | |
2964 |
문득 생각나는 칼라TV 방송 초창기의 유행 (후편)4 |
2017-09-07 | 176 | |
2963 |
한 통증이 가면 다른 통증이 오는 걸까요...2 |
2017-09-06 | 143 | |
2962 |
근래의 작품활동에 대해.2
|
2017-09-05 | 144 | |
2961 |
근대의 옷과 현대의 옷을 비교하면서 느끼는 것들7 |
2017-09-05 | 279 | |
2960 |
마법과고교의 열등생의 완벽한 요약(이라고 생각하는 것)6 |
2017-09-04 | 241 | |
2959 |
망중한...3 |
2017-09-03 | 138 |
2 댓글
대왕고래
2017-10-03 00:49:04
잣대가 분명하지 않고 감정에 휩싸이며 제대로 알아보지 않는 것이 큰 이유겠죠. 마지막은 저도 해당되네요.
전체적으로는, 모든 걸 감정에 의해 판단하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에게도 같은 방식으로 역사를 판단하게끔 했기 때문이 아닐까 싶어요. 그렇지 않고서야 대부분의 사람들이 감정에 의해 역사를 판단할리가 없겠죠.
잘못한 일은 잘못한것으로 짚고 넘어가고, 제대로 한 일은 제대로 한 일로 제대로 짚고 넘어가야죠.
또 하나 말하자면, 위 이유의 연장선상이지만, 한 주제에 한정해서만 역사를 논하기 때문이겠죠.
한 나라에 대한 비방이 주 목적이 되는 글을 올린다고 하면, 리플도 대개는 그 글의 논지대로 달려지기 마련이죠. 반례를 드는 경우도 있지만 그건 리플이 한 50개는 달리고 난 뒤의 일이에요. 그때쯤 되면 반론은 그냥 묻히기 쉽죠. 결국엔 모두가 한마음 한뜻으로 감정적으로 격해지기만 하는 것이죠.
좀 마음을 식히고 역사를 바라보는 마음도 중요하겠네요.?
마드리갈
2017-10-03 01:17:51
감정적으로 사안을 보게 될 때의 문제점은, 이전에 쓴 글인 우익몰이가 납득하기 어려운 결론으로 귀결될 때에도 잘 드러나 있어요. 즉 현재의 자위대 체제를 옹호한다고 해서 그 자위대 체제가 진짜 평화주의적 발상이 되어 주는 것도 아니고, 요시다 시게루의 내셔널리스트 성향이 부정되는 것도 아닌데 우익몰이로 가게 되면 잘못된 사고방식의 결과로 수용곤란한 결론에 동의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게 될 수 있어요. 이건 해가 되면 되었지, 결코 득이 되지는 못해요.
실험이나 관찰에 의해 명백히 결과가 드러나는 자연과학의 영역은 물론이고, 관점과 방법론에 따라 여러모로 결론이 달라질 수 있는 사회과학, 인문학 등에도 자유로운 반론은 보장되어야 해요. 그렇지 않으면 집단사고의 오류에 빠지게 될 위험이 커지고, 이것이 더 큰 문제로 귀결될 수 있어요.
과거 중국 역대왕조시대 문인들의 글을 읽어 보면, 수사법은 화려한데 서글프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아요. 문자의 옥이라고 하는, 체제에 대한 비판이 조금이라도 있다고 간주되면 그냥 그 문인들을 죽이고 작품을 없애 버리는 식으로 탄압하는 일이 횡행했으니까요. 그들의 뛰어난 능력은 세상에 도움이 되는 데에는 거의 쓰이지 못하고 그저 화려한 수사법 속에 세상에 대한 원망과 달관을 담아내는 데에만 유용되었으니까요. 이런 문자의 옥이 먼 나라의 역사로 끝난 게 아니라 오늘날에도 우리 실생활 속에 이어진다는 것이 섬뜩하기 짝이 없어요. 과연, 우리는 역사의 교훈에서 제대로 가르침을 얻은 것일까요? 이 질문에 그렇다고 자신있게 답하기에는 반례가 많은 것을 어찌할 수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