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남아프리카 항공 295편 추락 사고 (1987년 11월 28일)
▲ 1989년 당시 남아공에서 제작한 남아프리카 항공 295편 추락 사고를 다룬 다큐멘터리
▲ 1985년, 이륙하는 당시 사고기.
○ 기 종 : 보잉 747-200M (Combi, 승객/화물 혼재 가능 형식)
○ 기체번호 : ZS-SAS
○ 등록년도 : 1980년 11월 24일
○ 제작번호 : 22171/488
남아프리카 항공 295편 추락 사고는 1987년 11월 28일 대만 대북(타이페이) 공항을 출발, 모리셔스 포트루이스를 경유한 남아공 요하네스버그까지의 정기 항공편을 운항 중 화물칸에 실린 화물에서 원인불명의 화재가 발생하여 파일럿들이 모리셔스의 시우 사구르 람굴람경 국제공항에 비상 착륙을 시도하였으나, 조종계통 파괴에 따라 통제불능의 상태로 인도양에 추락한 사고입니다. 이 사고로 승객 및 승무원 159명 전원이 사망하였으며, 사망자 명단 중에서는 남아공 도로 건설 관련 회의 차 탑승하였던 한국인 승객 1명이 있었습니다.
#2. 아시아나 항공 991 추락 사고 (2011년 07월 28일)
▲ 2011년 1월 1일, 홍콩 국제공항을 이륙하는 사고기.
▲ 2011년 7월 27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에서 촬영된 사고기의 마지막 모습.
○ 기 종 : 보잉 747-400F (화물기)
○ 기체번호 : HL7604
○ 등록년도 : 2006년 2월
○ 제작번호 : 29907/1370
▲ 사고 당시 관제탑 및 주변 항공기와의 교신 내용을 바탕으로 재구성된 항적로. 시계방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04:10 시점부터 기체 분해가 시작되었다고 판단됨.
아시아나항공 991편 추락 사고는 2011년 07월 28일 인천 국제공항을 출발, 상해 포동 국제공항(푸둥 국제공항)으로 향하던 화물기에서 화물로 실린 배터리에서 원인 불명의 발화로 화재가 발생, 위기 상황을 직감한 파일럿들이 제주공항으로의 비상 착륙을 시도하였으나 주변의 가연성 물질 (반도체 감광액, 페인트 등) 으로 불이 번져 조종 계통의 파괴 및 항공기의 공중분해 등으로 제주도 인근 연안에 추락한 사고입니다. 이 사고로 기장 및 부기장 2명이 목숨을 잃었으며, 이후 화물기의 소화 능력 향상 대책 구비·화물 적재 시 배터리 및 가연성 제품의 선적·취급을 제한·금지하는 항공사가 늘어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번에 안내한 두 건의 사고의 요점은 항공기 내의 화재는 아무리 뛰어난 경험을 가진 베테랑 파일럿이라도 일촉즉발의 위험으로 몰아넣을 수 있는 심각한 사안이며, 이러한 사고를 거울 삼아 현재의 우리가 더 안전한 항공의 안전을 이루었다는 장을 연 공통점에서 주목받아야 할 것입니다. 1987년 및 2011년에 안타깝게 희생당한 모든 분들의 명복을 빕니다.
농업은 모든 산업의 기초입니다. 农业是所有产业的基础。La agricultura es la base de todas las industrias.
Agriculture is the foundation of all industries. L'agriculture est le fondement de toutes les industries.
목록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2024-09-06 | 236 | |
공지 |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
2024-03-28 | 187 | |
공지 |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
2024-03-05 | 214 | |
공지 |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613
|
2020-02-20 | 3880 | |
공지 |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2
|
2018-07-02 | 1015 | |
공지 |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2 |
2013-08-14 | 6004 | |
공지 |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
2013-07-08 | 6614 | |
공지 |
오류보고 접수창구107 |
2013-02-25 | 12109 | |
3075 |
러시아의 고속증식로 연구프로젝트에서 배울 점3 |
2017-12-05 | 198 | |
3074 |
오랜만입니다!6 |
2017-12-04 | 211 | |
3073 |
도쿄타워: 피규어와 나, 때때로 아부지4
|
2017-12-04 | 182 | |
3072 |
다시금 꿈자리가 사납습니다2 |
2017-12-03 | 138 | |
3071 |
남아프리카 항공 295편 사고 및 아시아나 항공 991편 사고의 관계2
|
2017-12-02 | 192 | |
3070 |
최근 해외여행 관련 프로그램에서 보이는 착각?6 |
2017-12-01 | 203 | |
3069 |
2017년의 여러가지를 제보받습니다 (11.30-12.27)8 |
2017-11-30 | 236 | |
3068 |
KLM 네덜란드 항공의 1988년 광고2 |
2017-11-29 | 171 | |
3067 |
완곡어법은 정말 상대를 배려하는 화법일까?6 |
2017-11-29 | 223 | |
3066 |
범죄물에 대의명분이 있다고 하면 더 어색할까요?5 |
2017-11-28 | 195 | |
3065 |
택배는 낭만을 싣고4
|
2017-11-28 | 151 | |
3064 |
김영란법, 이럴 거면 왜 만들었나...2 |
2017-11-27 | 162 | |
3063 |
JR서일본의 기묘한 열차운행방식2
|
2017-11-26 | 157 | |
3062 |
약속 지키기가 싫은 사람들4 |
2017-11-25 | 200 | |
3061 |
정신없었던 1주일, 11월 마지막 주말 그리고...4 |
2017-11-24 | 150 | |
3060 |
마음에 폭풍우가 몰아칠때4 |
2017-11-23 | 158 | |
3059 |
귀순 북한군 병사를 살려낸 의사를 욕하는 국회의원을 보며8 |
2017-11-22 | 300 | |
3058 |
자고 일어나니 적폐세력이 되어 있었다.6 |
2017-11-21 | 284 | |
3057 |
"강제배틀을 강요하잖아! 나 챔피언 그만둘래!"4 |
2017-11-20 | 147 | |
3056 |
벌써 겨울인 건가...+기타3 |
2017-11-19 | 146 |
2 댓글
마드리갈
2017-12-03 00:40:36
1989년과 2011년의 별개의 두 항공사고에 두 가지의 공통점이 있네요.
하나는 사고를 당한 기체가 보잉 747 계열의 것, 그리고 다른 하나는 화물구획에서의 화재가 사고의 원인이 된 것. 특히 항공화물의 경우는 비행도중에 어떻게 조치를 할 수 있는 게 아니니까 일단 화재가 났다 하면 답이 없어요. 특히 각종 IT 디바이스의 전원이 폭발위험에서 자유롭지 않은 리튬이온 배터리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보니 앞으로 이런 유형의 사고가 나지 말라는 보장도 없으니까 현재의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에서 쓰는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신뢰성이 높은 2차전지가 개발되어야 하겠네요.
끔찍한 사고에 유명을 달리하신 분들에 대해 명복을 빌어요. 잠시 기도할께요.
운영진으로서 말씀드릴 부분이 있어요.
포럼의 이용규칙 게시판 제9조 및 추가사항에서는 "중국 및 대만의 인명지명은 가능한 한 한국식 한자발음으로 표기해야 하며, 괄호 안에 한자나 현지발음을 병기할 수 있습니다." 라고 규정하고 있어요. 이 원칙을 따라 주시기를 부탁드려요.
이렇게 위의 예시대로 쓸 수 있으면 되니까 너무 어렵게 생각하시지 않으시길 바랄께요.
SiteOwner
2017-12-03 19:20:04
언급하신 두 사건 모두 끔찍하군요. 어떤 교통수단이든지 화재사고의 위험에서 자유로울 수 없지만, 항공기는 특히 고속주행, 운항도중에의 대처곤란, 항공기의 구조재 재질(알루미늄 합금 및 강화플라스틱), 총중량 대비 높은 연료탑재량 등의 요인이 있어 특히 취약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니 특히 화재위험에 조심해야 합니다. 위에서 동생이 말한 것처럼, 화재위험을 줄이는 근본적인 좋은 방법 중의 하나가 현재의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더욱 신뢰성이 높은 2차전지의 실용화가 됩니다. 나날이 IT 디바이스 사용량이 높아지는 오늘날인만큼 이 점을 간과할 수 없습니다.
그러고 보니 보잉 787도 배터리 계통의 문제로 발화하는 문제가 빈발하여 드림라이너라는 애칭이 나이트메어라이너로 야유되는 문제가 있었지요. 이것 또한 리튬이온 배터리의 약점인 폭발, 발화 문제에의 취약성에 기인하는 것입니다. 게다가 항공기의 효율증대를 위한 블리드리스 시스템(Bleedless System) 등의 여러 전장품에 대해서도 생각할 필요가 있습니다. 기존의 항공기는 제트엔진의 압축기에서 압축공기 일부를 유용하여 객실환경에 적합하게끔 감압, 온도조정 및 보습을 가한 블리드 에어 시스템(Bleed Air System)을 사용하는데, 보잉 787의 경우는 이것을 생략하고 대신 별도의 시스템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 블리드리스 시스템은 전기계통을 더욱 많이 요구하다 보니 배터리에의 의존도 및 요구되는 신뢰성 수준 또한 더욱 높습니다. 이것 말고도 각종 조종면의 전기구동 등을 위해서도 전장품이 많이 필요하니, 리튬이온 배터리같이 폭발이나 화재에 취약한 2차전지를 대체할 기술이 실용화되어야겠습니다.
같은 사고가 반복되지 않기를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