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가 예전에 강남에 볼 일이 있어서 갔다가 집에 가던 길이었습니다. 그런데 그 때가 하필 퇴근시간이었죠.
버스를 신논현역에서 타고 강남대로를 따라가는데, 강남역 정류장까지 가는 데 30분이 걸리더군요... 이대로 가면 집에 가서 저녁도 못 먹겠다 하는 생각에 바로 버스에서 내려서 그대로 강남역에서 전철을 탔죠.
이걸 생각해 보면 확실히 강남리로 악명높은 분당선이라도 도로에 비하면 경쟁력이 있는 듯합니다. 구룡-개포동-대모산입구만 아니었어도 좀더 빠르게 오갈 수 있었겠죠. 신분당선이라는 중복투자를 할 필요도 없었겠고요...
언젠가는 사랑받는 작가가 되고 싶다
목록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2024-09-06 | 283 | |
공지 |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
2024-03-28 | 197 | |
공지 |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
2024-03-05 | 225 | |
공지 |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613
|
2020-02-20 | 3891 | |
공지 |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2
|
2018-07-02 | 1024 | |
공지 |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2 |
2013-08-14 | 6015 | |
공지 |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
2013-07-08 | 6626 | |
공지 |
오류보고 접수창구107 |
2013-02-25 | 12130 | |
2229 |
끊임없이 관찰할 것.3 |
2015-12-07 | 155 | |
2228 |
재미있는 게임 보스전 구성의 좋은 예2 |
2015-12-07 | 166 | |
2227 |
별의 별 일들 그리고 생각14 |
2015-12-06 | 573 | |
2226 |
사랑이 가득 찰 수 있을지 모르겠지면 여튼 근황입니다3 |
2015-12-05 | 148 | |
2225 |
[철도이야기] 급행열차는 완행보다 자리 잡기가 더 어렵지요.2 |
2015-12-04 | 197 | |
2224 |
대학 붙었습니다!!4 |
2015-12-03 | 148 | |
2223 |
겨울, 기말고사, 게임6 |
2015-12-03 | 221 | |
2222 |
미시로 상무에 대한 짧은 단상4 |
2015-12-02 | 303 | |
2221 |
기술의 발전은 무섭습니다.5 |
2015-12-01 | 170 | |
2220 |
언변에 길잃은 책임2 |
2015-12-01 | 182 | |
2219 |
친구랑 나눈 짧은 대화.4 |
2015-12-01 | 151 | |
2218 |
이것저것 수집중인 도쿄타워 굿즈들4
|
2015-11-30 | 337 | |
2217 |
스위스에어의 컨베어 CV-990 운항 영상2 |
2015-11-29 | 166 | |
2216 |
[철도이야기?] 확실히 강남 같은 곳에서는 철도에 우위가 있습니다.2 |
2015-11-28 | 150 | |
2215 |
여러가지 이야기4 |
2015-11-27 | 142 | |
2214 |
오늘 첫눈이 왔지요.3 |
2015-11-26 | 133 | |
2213 |
오늘 논문을 제출하고 왔습니다+α2 |
2015-11-25 | 122 | |
2212 |
할머니의 장례를 치르며 든 생각2 |
2015-11-24 | 188 | |
2211 |
요즘 잠이 좀 많아진 느낌입니다.3 |
2015-11-23 | 129 | |
2210 |
어째 일이 묘하게 꼬이는 기분입니다.9
|
2015-11-22 | 250 |
2 댓글
마드리갈
2015-11-28 23:39:44
사실 서울의 강남3구가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터라 도로는 고규격이지만 대중교통체계, 특히 버스노선에서는 확실히 약점을 많이 노정하고 있어요. 그리고 강남대로는 혼잡이 일상이다 보니 그냥 걸어가는 게 나을 수준으로 혼잡하죠. 그냥 답이 없을 레벨. 그래서 말씀하신 것처럼 철도가 경쟁력이 있어요. 그 개발시기에 철도를 위한 공간을 남겨두어서 지상으로 철도노선이 다니게 했어야 더 좋았을 건데 하는 생각도 들어요. 지금은 이미 늦어서 손을 쓰지도 못하니까요.
그런데 신분당선이 중복투자이기만 했을지는 전 생각이 좀 달라요.
SiteOwner
2015-12-06 16:22:55
서울 강남 쪽은 버스교통에 꽤 불친절한 게 많다 보니 승용차 아니면 철도가 답인 지역입니다. 도로가 넓고 고규격인 건 반갑지만, 이걸 반대로 생각하면, 그만큼 횡단에 시간이 많이 걸려서 길을 건너서 갈아타야 할 때의 소요시간이 꽤 큰 점이 약점으로도 작용한다는 것입니다.
분당선의 선형에 대해서 좋은 말이 나오지 않는 것을 부정하지는 않겠습니다. 그런데 이런 것도 생각을 해봐야 합니다. 한국은 도시철도의 역사가 지극히 짧은 국가입니다. 그래서 계획, 건설 및 운용의 경험이 일천한 편이고, 그렇다 보니 선형의 계획이나 지역요구의 반영 등을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해서도 노우하우가 딸릴 수밖에 없고, 그런 점에서 어느 정도 감안을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지상구간이 거의 없이 지어진 건 확실히 패착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만.
그리고, 국내 철도시스템에 문제가 많은 건 사실이지만, 어차피 하나의 선로로 서울과 성남 구간의 철도교통수요를 다 충당할 수도 없으니 신분당선이 중복투자인지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못하겠습니다. 단적으로, 일본의 경우 도쿄와 치바현을 연결하는 철도노선에 JR과 케이세이의 것이 있고, JR에는 소부본선 및 케이요선, 케이세이에는 케이세이본선 및 케이세이스카이액세스가 있지 않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