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to content
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 글 序

지난 글 #1 철도통계의 맹점

지난 글 #2 국가별 통계 A

지난 글 #3 국가별 통계 B

지난 글 #4 도로와의 비교

지난 글 #5 동력의 집중과 분산

지난 글 #6 동력집중은 그만


지난 회차에서는 왜 한국의 철도가 동력집중을 더 이상 고수해서는 안 되는지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았어요. 이번에는 그 회차의 확장판으로서 고속철도차량에서 그렇게 강조하는 관절대차의 실상과 허상을 밝히도록 할께요.


여러분들은 열차의 바퀴를 유심히 본 적이 있으신가요?

수도권 전철 및 지하철처럼 스크린도어가 있는 경우라면 보기 힘들지만, 장거리 운행열차의 경우에는 플랫폼의 높이가 낮은데다 역 구내가 넓어서 다른 열차의 바퀴가 보이기 쉬워요. 그런데 바퀴가 하나가 있는 게 아니라 둘 또는 셋이 한 묶음으로 되어 있는 게 보이지요? 그걸 대차라고 해요. 대차는 긴 길이의 차량도 원활하게 곡선을 돌 수 있도록 차체와는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있는, 작은 수레같이 만들어진 바퀴들의 묶음이라고 생각하면 되어요.


KTX 및 KTX-산천 차량을 보면, 다른 철도차량과는 다르게 그 대차가 각 차량의 양끝에 하나씩 있는 게 아니라, 두 객차가 한 대차를 공유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어요. 그렇게 된 차량을 연접차(連接車)라고 부르고, 그러한 대차구조를 연접대차 또는 관절대차(Jakobs Bogie, Jakobsdrehgestell)라고 불러요. 이 대차는 독일의 기술자 빌헬름 야콥스(Wilhelm Jakobs, 1858-1942)가 발명하여 1901년 4월 10일에 특허를 받은 거예요. 그래서 영어 및 독일어 표현에는 연접이나 관절이라는 말 대신에 발명자인 야콥스가 언급되고 있어요.

이 대차를 채택한 대표적인 차량에는 대략 이런 것들이 있어요.

  • 고속차량
    • TGV 계열 - TGV, AVE, Thalys PBKA, KTX, KTX-산천 (프랑스/스페인/벨기에/한국, 1981-현재)
    • JR동일본 STAR21 953계 (일본, 1992-1998, 개념실증용)
  • 일반차량
    • 케이한 60형전차 (일본, 1934-1970)
    • Zephyrs 특급열차 (미국, 1934-1971)
    • Doppelstock-Stromlinien-Wendezug der LBE (독일, 1936-1982)
    • ETR200 특급전차 (이탈리아, 1936-1993)
    • Electroliner 노면전차 (미국, 1941-1976)
    • TALGO 시리즈 특급열차 (스페인, 1942-현재)
    • EW 전기기관차 (뉴질랜드, 1952-1988)
    • Tatra K2 노면전차 (체코/러시아/우크라이나/슬로바키아/보스니아 등, 1966-현재)
    • 오다큐 3000계 특급전차 (일본, 1957-1992)
    • 에노시마전철 300계 개조전차 (일본, 1960-현재)
    • 삿포로시교통국 A800/810/820/830계 노면전차 (일본, 1963-1976)
    • 오다큐 3100계 특급전차 (일본, 1963-2000)
    • 일본국철 키하391계 가스터빈 기동차 (일본, 1972, 개념실증용)
    • 2층 컨테이너화차 (미국, 1977-현재)
    • 오다큐 10000계 특급전차 (일본, 1987-2012)
    • DBAG 422/423/424/425/426계 (독일, 1998-현재)
    • JR동일본 E993계 통근전차 (일본, 2002, 개념실증용)
    • Stadler FLIRT 근교-교외용전차 (독일/이탈리아/스위스/노르웨이/핀란드/체코 등, 2004-현재)
    • 오다큐 50000계 특급전차 (일본, 2005-현재)


이런 연접대차 적용차량에는 다음과 같은 일장일단이 있어요.

장점을 먼저 보도록 하지요.

  1. 기존의 차량은 대차수가 차량수의 최소 2배이지만, 연접차에서는 크게 줄어들어 n+1이 되어 그만큼 가벼워진다. 즉 8량편성에 필요한 대차수는 기존차량에서는 최소 16대이지만 연접차인 경우 9개면 된다.
  2. 두 차체가 연결기 대신에 바로 대차를 통해 이어져 비틀림에 강하다. 따라서 탈선시 전복률이 낮다.
  3. 차륜의 진동이 바로 바닥으로 전해지지 않아서 정숙성이 우수하다.
  4. 급곡선에서의 성능이 우수하여 최소곡선반경이 작은 선로에도 적합하다.
  5. 무게중심을 낮출 수 있으므로 횡방향 진동을 크게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장점만 있으면 세계의 철도차량이 모두 연접차가 되었을까요? 약점도 만만치 않거든요.

그럼 약점을 보기로 해요.

  1. 편성의 분합이 곤란해서 정비성이 나쁘며 교통상황에의 탄력적 대응도 어렵다.
  2. 차량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없어서 수송력이 제한된다(일본 재래선의 경우 12~13m, KTX의 경우 18.7m).
  3. 대차가 적어지는 대신에 축중은 높게 걸려 대차, 차축 및 서스펜션의 강도를 높여야 한다.
  4. 차량의 편성대수가 제한된다.
  5. 수리 등을 위해 편성에서 분리된 차량의 수용을 위해서는 가대차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따라서 위의 장단점 일람과 그 앞의 차량일람을 볼 때 연접차를 장거리를 운행하는 철도차량에 일괄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다소 부적합한 부분이 있음을 대략 파악할 수 있을 거예요. 반대로 중단거리 또는 급곡선 운전에 활용하기 좋은 특성도 있을 테구요.


대표적인 차량 일람에 노면전차가 자주 나오고 있어요.

일단 노면전차에는 연접차가 상당히 적합해요. 왜 그럴까요?

노면전차의 궤도는 도로에 매립되어 있고, 그 도로는 처음부터 마차나 자동차의 통행을 전제하여 건설된 것이니까 기존의 철도차량으로 대응하기에는 최소곡선반경도 너무 작아서 아무래도 너무 긴 차량은 자동차의 통행을 방해하기 쉬워요. 게다가 기존의 차량보다는 확실히 차체를 낮게 할 수 있으니 승객의 승하차 편의 제공의 측면에서도 노면전차는 큰 장점이 있어요. 편성길이도 버스보다는 높고 기존의 철도차량보다는 낮은 중간 정도의 수송력을 제공하기에는 적합해요.

또한 근교 중단거리 특급차량에서도 연접차는 강점을 발휘해요.

실제로 오다큐 3000계 특급전차는 1957년 등장 이래, 일본국철의 1,067mm 재래선인 도카이도본선(東海道本線)에서 145km/h의 고속을 기록하는 데에 성공했어요. 그래서 장거리 고속열차에 전차가 적합할 수 있음을 실제로 보여주는 계기가 되기도 했어요. 그리고 오다큐는 로만스카(ロマンスカー)라고 불리는 자사의 특급전차에 꾸준히 이 형식을 적용하고 있어요.


그런데 근거리교통수단인 전차가 간선 장거리수송에도 사용될 수 있게 된 이상 그럼 연접차도 그렇게 될 수 있다고 희망적인 의문을 제기할 수 있겠지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반드시 그렇게 되지는 않아요.

그럼 왜 프랑스는 전면적으로 TGV에 그런 연접차를 전면적으로 채용하고 있고, 스페인의 TALGO의 경우에도 그럴까요? 우선 그 나라의 특수한 사정을 먼저 봐야 해요.


프랑스의 경우는 파리-리용 구간을 제외하면 대체로 수송밀도가 낮은데다, 고속철도 전용선의 비율이 낮아요. 그래서 선로 신설이 어려운 구간의 경우 재래선구간을 이용한다든지, 문화재 등이 밀집한 지역에서는 속도를 재래선열차의 수준인 130km/h 수준으로 떨어뜨리거나 하는 식의 대응을 하는 식으로 최소한 신규토목공사를 줄이고 있어요. 그러다 보니 연접차를 활용할 여지도 많아요. 어차피 신설의 고속선이 아니면 최소곡선반경도 수백 미터 수준으로 작을 테니까요.

스페인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아요. 인구가 비슷한 수준이면서 국토의 넓이는 한국의 5배에 달하고 철도네트워크는 더욱 광범위하니까요. 게다가 스페인은 1,435mm의 표준궤 말고도 전통의 이베리아궤간인 1,668mm 광궤가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어요. 이베리아궤간은 11,829km, 표준궤는 998km로 아직 표준궤가 많지 않은데다 그 표준궤에는 일단 프랑스 기술을 사용한 차량이 우선적으로 쓰이고 있어요. 독일의 ICE-3과 동일한 사양의 지멘스 벨라로 고속전차나 알비아 궤간변경전차는 모두 기존 대차를 이용하고 있고, TALGO는 차량의 길이가 짧은 1축 연접차를 쓰는 등의 독자적인 기술발전양상이 많아요. 그러니 이 두 나라에서 연접차가 많이 쓰이는 것은 연접차가 장거리열차에 적합해서가 아니라 이 나라들만의 특수사정이 있다고 해석해야 옳은 거예요.


1992년 일본의 JR동일본에서는 STAR21이라는 기술실증차량을 2편성 제작했어요.

이 차량은 952계와 953계의 두 형식이 있어요. 952계는 1호차 26,250mm, 2~4호차 25,000mm 길이의 4량편성이고 1량의 양끝에 2축식 대차가 하나씩 있는 118,8톤의 기존방식의 차량이예요. 그리고 953계는 양단 22,250/25,500mm, 중간차 18,500mm 길이의 108,9톤의 5량편성 연접차로 만들어졌어요. 차체가 알루미늄 합금제여서 상당 수준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었어요.

이 편성으로 실시된 실험에서 연접차의 성능이 기존방식보다 우수한 것이 보이긴 했어요. 그러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고, 그 주행성능의 대가가 크다는 것이 판명되었어요. 제기된 문제는 높은 축중문제, 유사시의 충격흡수 및 정비성 등이 있어요. 그래서 JR동일본은 일본국철에서 JR로 이행한 후의 첫 독자적인 신칸센전차인 E1에 기존방식을 적용하기로 결정했어요. 그리고 이후의 차량에도 신칸센 및 재래선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어요.

당장 축중 문제를 보더라도, 952계는 대차가 8개이고 차축이 16개, 따라서 축중은 7,425kg이 되어요. 그런데 953계는 대차가 6개라서 차축은 12개. 총중량은 근소하게 작긴 하지만 축중은 9,075kg로 크게 커졌어요. 대체로 축중이 궤도파괴에 직결되는 경향을 보이기에 축중은 되도록이면 작은 게 좋고, 따라서 연접차의 큰 축중은 신칸센 설비의 장기간 운용을 위해서도 도움이 되지 않아요. 그리고 궤도의 최소곡선반경도 재래선의 400m(1급선)에 비해 2,500~4,000m로 연접차의 곡선주행성능을 살려야 할 필요도 딱히 없어요.


한국은 고속철도를 도입하면서 과연 이런 연접차의 장단점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생각을 한 걸까요?

물론 연접차가 불필요하다고는 말하고 싶지는 않아요. 한국내에는 호남선 서대전-익산 구간이라든지, 태백선 전구간, 영동선 영주-동해 구간같은 급곡선 구간이 있으니까 그런 구간을 위한 통근형 및 특급용 여객열차로서 단편성 연접차의 투입이 필요해요. 그러나 고속철도에서는 그다지 의미가 없어요.

가장 먼저 도입된 형식인 KTX-I 편성의 경우 388m, 18량+기관차 2량의 장대한 편성이면서 수송력은 935명에 불과해요.

일본의 신칸센전차의 경우 700계가 400m, 16량 편성에 1,323명, E2계가 10량 815명/8량 630명, 2층인 E1계가 302m, 12량 편성에 1,235명, E4계가 202m, 8량 편성에 817명이예요. 미니신칸센 대응차량인 E3계 6량편성이 338명의 수송력을 보이는데 이게 126m의 길이예요. 이 편성을 3중련하여 1량으로 하면 수송력은 1,014명, 길이는 378m로 더 짧으면서도 수송력은 더 높아요. 

독일의 ICE 3의 경우는 8량편성이 197m이며 수송력은 441명에서 460명, 16량으로 중련운전을 할 경우에는 882명에서 920명으로 다소 적은 편이지만, 실내공간이 더욱 넓고 쾌적한 장점이 있어요.


KTX의 목적이 대규모 여객수요에의 고속대응이 아니었던가요? 그냥 고속수송이 목표고 수송력증강은 목표가 아니었나요?

이렇게 한국의 실정에 맞지 않게 무비판적으로 프랑스의 기술을 수입해 오기만 하면서, 관절대차는 안전에 유리하다는 말 하나만으로 철도 이용자들을 현혹시키는 건 아닌가요? 정말 안전을 위한다면, 고속선과 재래선을 오가는 식으로 편성을 복잡하게 하지 않고 완전히 별개의 시스템으로 분리해야 맞아요.

따라서 신앙으로까지 이어지는 한국의 관절대차 문제는 원점에서부터 다시 생각해야 할 필요가 있어요.



다음 회차에서는 비용편익분석의 문제를 다루도록 할께요.

마드리갈

Co-founder and administrator of Polyphonic World

7 댓글

군단을위하여

2013-06-27 18:05:35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여기부터는 제 전문이 아닌 것 같네요

마드리갈

2013-06-27 18:25:15

읽어 주셔서 감사드려요.

사실 차량의 문제는, 대개 철도차량이라는 게 자동차처럼 소품종 대량생산, 세부사항에 한한 선택가능 식으로 만들어지는 게 아니라 발주자의 요구사항대로 만드는 수주생산품이라서 정확히 파악하기 힘든 게 사실이예요. 그래서 철도노선의 문제에 비해서 파고들어가기가 쉽지가 않아요.


관절대차가 안전상 우월하다는 것은, 2007년 일본에서 일어난 니이가타-츄에츠근해지진(新潟・中越沖地震)에서의 사례로 반박가능해요. 죠에츠신칸센의 200계 신칸센전차가 탈선하기는 했어요. 그러나 역시 인명피해는 없었어요. 게다가 1998년 독일의 에세데 대참사(Eschede Train Disaster)의 상황에서는 피해가 컸던 이유가 관절대차가 아니라, 복합차륜의 금속피로문제와 탈선 후 근처의 교량에의 충돌이 문제였어요. 아무리 관절대차 아니라 뭐라도 구조물에 충돌하면 답이 없어요. 2005년 일본의 아마가사키 대참사도 역시 탈선열차가 연선의 건물에 격돌하면서 사망자 수가 급증한 거였으니까요.

하네카와츠바사

2013-06-27 19:20:38

사실 용산역에서 KTX 18호차를 타보면 절로 욕이 나옵니다. 오늘 글을 읽어보니 KTX의 수송 밀도가 이상하게 낮다는 게 실감나네요.

마드리갈

2013-06-27 20:44:44

낮은 수송밀도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가 있어요.

차량에서는 소단면 차량이나 연접차의 구조상 필연적인 차량당 수송력 감소나 동력집중식에 의한 기관차 길이 문제가 있고, 선로에서는 고속선과 재래선이 분리되지 않은 시스템의 문제가 있어요. 게다가 현재의 차량과 선로가 수명이 다 되기까지는 해결방법 자체가 전혀 없어서 이러한 불경제를 그냥 보고만 있어야 한다는 게 문제일 수밖에 없어요. 앞으로 수십년간 더 고생해 봐서 깨달으면 다행인데...


2004년 경부고속철도가 개통하였지만 실질적으로 운행본수가 2배가 되지 않았다는 것 자체에 문제가 있어요.

대왕고래

2013-06-27 19:32:07

간략히 말해서, 한국에 맞지 않는 방법을 쓴 덕분에 이래저래 귀찮아진 경우군요.

KTX의 목표엔 수송력이 없다...고 해도 맞을 거 같아요. 중간 좌석-마주보고 있어서 비교적 넓은 좌석-인 8A,8B, 9A,9B 외에는 너무 좁아터져서, 차라리 다른 게 더 나을 정도에요. 속도 말고는 완전 없어요, KTX는.

마드리갈

2013-06-27 20:48:21

철도는 철저히 운영국의 환경에 맞추어야 하니까 이를 간과하면 큰 불경제가 초래될 수밖에 없어요.

사실 개별 차량의 수송력이 떨어진다고 하더라도 운행본수가 많거나 편의장치가 충분하여 높은 운임의 가치를 다한다면 충분히 좋은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는 있는데 KTX에는 그런 것 자체가 아예 결여되어 있어요. 이러고도 고속철도 운영국이니까 철도선진국이라고 주장한다면 큰 오산이예요.


그런데 이러한 무지몽매한 환경에 대한 인식조차 없으니...

마드리갈

2022-01-06 13:21:05

2022년 1월 6일 업데이트


아무리 관절대차(연접대차)가 탈선에 강하다고 해도 무적은 아니라는 것이 입증되었어요.

어제 경부고속철도에서 발생한 터널 내 철구조물 낙하사건으로 탈선사고가 발생하였다는 것에서 관절대차 만능론은 실증적으로 반박되었어요. 관절대차인지 아닌지의 문제는 이미 논외의 것이고 정말 중요한 것은 이물질 유입방지대책인 것이죠.

새해 첫 중대철도사고의 영향은 사고 다음날인 오늘 오전에야 해소되었어요.


관련보도를 둘 소개할께요.

부산행 KTX-산천 열차, 충북 영동터널서 탈선… 1시간 이상 지연, 2022년 1월 5일 조선비즈 기사

탈선 사고 경부선 KTX 복구 끝나… 오전 7시55분 운행 정상화, 2022년 1월 6일 조선일보 기사

Board Menu

목록

Page 256 / 29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SiteOwner 2024-09-06 171
공지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SiteOwner 2024-03-28 174
공지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SiteOwner 2024-03-05 200
공지

2023년 국내외 주요 사건을 돌아볼까요? 작성중

10
마드리갈 2023-12-30 362
공지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

612
마드리갈 2020-02-20 3865
공지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

2
  • file
마드리갈 2018-07-02 1003
공지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

2
SiteOwner 2013-08-14 5975
공지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하네카와츠바사 2013-07-08 6598
공지

오류보고 접수창구

107
마드리갈 2013-02-25 12092
799

나미와 요미의 식사 시간입니다.

2
처진방망이 2013-06-29 366
798

10분 만에 뚝딱한 자캐 그림입니다. 이번에는 새로운 자캐...

2
데하카 2013-06-28 335
797

무선헤드셋을 샀습니다. 그런데.....

2
KIPPIE 2013-06-28 227
796

버스 정류장 이름도 세습?

1
군단을위하여 2013-06-28 199
795

고양이의 잠자리는 구분이 따로 없습니다.

4
처진방망이 2013-06-28 534
794

오이 수확 外

1
처진방망이 2013-06-28 540
793

오락실 추억 탐방을 하고 왔습니다.

4
HNRY 2013-06-28 3244
792

이번 주말에 자취방으로 이사예정입니다.

1
TheRomangOrc 2013-06-27 225
791

제 세계관 속에도 꽤나 암울한 시기가 존재하죠

1
군단을위하여 2013-06-27 201
790

설정에서 다른 나라 영토 빼앗기의 명분은 뭐가 적절할까요

2
군단을위하여 2013-06-27 218
789

역시 우리나라의 철도시스템은 잘못되어 있다 #7 관절대차 문제

7
마드리갈 2013-06-27 935
788

나미와 요미의 아이들다운 행동들입니다.

2
처진방망이 2013-06-27 550
787

잠에 대한 이야기+질문 하나!

2
대왕고래 2013-06-27 165
786

시내에 재미난 곳이 하나 생겼습니다 + 여러가지

5
고트벨라 2013-06-27 310
785

여러 사람이 들어간 그림을 그려 봤습니다.

4
군단을위하여 2013-06-26 352
784

6.25 전쟁에 대한 몇몇 이야기 (下)

4
마드리갈 2013-06-26 382
783

앞으로의 활동지침

2
TheRomangOrc 2013-06-26 204
782

나미와 요미의 아장아장 첫걸음들입니다.

5
처진방망이 2013-06-26 341
781

여자친구가 아야아야해요 ㅇㅅㅇ

1
뿅아리푱아리 2013-06-26 332
780

분위기 잘 타시는 분 있으신가요?

7
고트벨라 2013-06-25 216

Polyphonic World Forum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