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누구나 알듯이 주로 어머님들이 자녀들과 비교대상을 만들어내기 위해 쓰는 스킬(?)이죠.
특히 자녀의 성적 같은 게 부진할 때요. 저도 요즘 겪어서 잘 압니다.
그런데 친구들 말을 들어 보면, 친구들도 그런 말 다 듣고 다니지요,
저는 그럴 때마다 이런 말을 합니다.
'우리도 누군가에게는 엄친아, 엄친딸이다'
뭐 까놓고 말해서, 어머님들은 자녀들과 같이 있으면 좋은 점 나쁜 점 다 보는데, 어머님들끼리 모일 때는 자식의 나쁜 점은 감추려고 하지요. 그게 부풀려져서 엄친아, 엄친딸이 만들어지는 겁니다. 다른 친구들의 부모님들이 저한테 그런 이미지를 씌울지도 모르고요,
언젠가는 사랑받는 작가가 되고 싶다
목록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2024-09-06 | 277 | |
공지 |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
2024-03-28 | 195 | |
공지 |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
2024-03-05 | 219 | |
공지 |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613
|
2020-02-20 | 3889 | |
공지 |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2
|
2018-07-02 | 1022 | |
공지 |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2 |
2013-08-14 | 6009 | |
공지 |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
2013-07-08 | 6624 | |
공지 |
오류보고 접수창구107 |
2013-02-25 | 12128 | |
1727 |
일본인 49% "혐한 출판물이 한일관계 악화"5 |
2014-10-26 | 256 | |
1726 |
팬 아메리칸 항공 한국 TV 광고(1980년대)3 |
2014-10-26 | 248 | |
1725 |
시험은 끝났는데...3 |
2014-10-25 | 122 | |
1724 |
사, 삼백만원 짜리 유혹!4 |
2014-10-24 | 347 | |
1723 |
만남과 이별, 그리고 또 다른 만남4 |
2014-10-23 | 314 | |
1722 |
몇개월만인지 모르겠습니다.7 |
2014-10-23 | 176 | |
1721 |
요즘은 잘 졸지 않게 되는군요.3 |
2014-10-22 | 126 | |
1720 |
[철도이야기] 경의중앙선에 대해.2 |
2014-10-21 | 426 | |
1719 |
당분간의 부재에 따른 당부의 말씀2 |
2014-10-19 | 157 | |
1718 |
'그러니까, 당신도 살아' 라는 책 읽어보셨나요8 |
2014-10-18 | 333 | |
1717 |
[더러움 주의] 역에서 겪은 설비문제8 |
2014-10-17 | 286 | |
1716 |
포럼의 게시글 작성에 관하여4 |
2014-10-17 | 207 | |
1715 |
제 2회 한국 종이모형 페스티벌 개최가 확정되었습니다!4 |
2014-10-16 | 303 | |
1714 |
[철도이야기] 북한 철도에서 통일하면 개량 우선순위는 어딜까요...3 |
2014-10-15 | 273 | |
1713 |
지금까지의 포럼 접속국가 일람2 |
2014-10-14 | 268 | |
1712 |
소위 '엄친아'라는 건 말입니다.4 |
2014-10-12 | 147 | |
1711 |
일상 속 몇 가지 이야기.3 |
2014-10-10 | 125 | |
1710 |
역시 뭔가 계기가 생기면 습관화가 저절로 되는 걸까요...3 |
2014-10-09 | 121 | |
1709 |
KLM 암스테르담-도쿄 노선 개통 영상2 |
2014-10-08 | 161 | |
1708 |
언어의 소중화(小中華)를 자처하는 한국10 |
2014-10-08 | 405 |
4 댓글
대왕고래
2014-10-13 23:27:03
어렸을 때 비교당한 적은 없었죠, 저는.
대신 열심히 하라는 말만 많이 들었어요.
...어째 전 제대로 듣지도 않았지만요;;; 아우 지금부터라도 열심히...
TheRomangOrc
2014-10-13 23:39:02
흐음, 전 딱히 비교를 당한적은 없던것 같네요.
비교의 대상이 되었던 적도 없는것 같고...아니면 있었는데 기억을 못하던가...
대신 키 크다 같은건 엄청 말을 많이 들었네요.
지금도 그렇고...뭐 좋다면 좋은 일이려나요(...)
마드리갈
2014-10-14 09:52:07
엄마 친구 아들/딸...그래서 이런 조어가 정착이 된 것 같은데...사실, 흔히 말하는 엄친아/엄친딸에 해당되는 캐릭터는 얼마나 있을까요. 그리고, 아무리 완벽하게 설정된다 한들 그 대상이 되는 사람들에게 나름대로의 고민 같은 게 전혀 없을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비교의 영어 단어인 Comparison, 그리고 독일어의 Vergleich라는 단어의 어원을 봤어요.
Comparison은 "짝을 맞춰 묶다" 를 의미하는 라틴어의 comparare에서 왔어요. 그리고 Vergleich는 "닮다" 내지는 "같게 하다" 라는 동사 gleichen에서 왔어요. 실상과 허상을 놓고 그게 공정하게 비교되겠어요?
SiteOwner
2014-10-18 16:30:50
상당히 거칠게 말하자면, 엄친아, 엄친딸 운운은 그냥 눈 감고 코끼리를 더듬어서 코끼리는 이런 동물이라고 정의내리는 것밖에 안됩니다. 그런 존재하지 않는 허상을 비교대상으로 하다니 처음부터 언어도단인 셈 아니겠습니까. 그리고 원래 사람의 말이라는 게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면서 부풀려지기도 하고 잘려지기도 해서 처음과는 아주 다른 엉뚱한 것이 되기 마련입니다. 좀 상스러운 속담이 생각났지만 굳이 적지는 않겠습니다.
이런 현상, 결코 좋은 건 아닌데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