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잉 787과 더불어 차세대 여객기로 각광받는 에어버스 A350의 2013년 6월 13일 공개 시험 비행 영상입니다.
새로운 형태의 윙팁, 개선된 엔진 및 동체 형상 등이 기존의 여객기와는 '무언가 다르다' 는 것을 전 세계에 공개하고 입증한 점으로서 에어버스의 기술력을 수긍할 수 있습니다.
2014년 12월 첫 상용기체 (A350-900) 가 론칭 커스터머인 카타르 항공에 인도되었고, 우리나라에서는 아시아나항공이 A350-800, 900, 1000을 대거 주문하였습니다.
농업은 모든 산업의 기초입니다. 农业是所有产业的基础。La agricultura es la base de todas las industrias.
Agriculture is the foundation of all industries. L'agriculture est le fondement de toutes les industries.
목록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2024-09-06 | 240 | |
공지 |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
2024-03-28 | 193 | |
공지 |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
2024-03-05 | 216 | |
공지 |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613
|
2020-02-20 | 3883 | |
공지 |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2
|
2018-07-02 | 1019 | |
공지 |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2 |
2013-08-14 | 6007 | |
공지 |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
2013-07-08 | 6618 | |
공지 |
오류보고 접수창구107 |
2013-02-25 | 12114 | |
2046 |
상반기의 끝, 하반기의 시작8 |
2015-06-30 | 142 | |
2045 |
삼풍백화점 붕괴, 그 20년 후4 |
2015-06-29 | 166 | |
2044 |
달팽이에게 새 식구가 생겼어요!4 |
2015-06-29 | 151 | |
2043 |
나이에 대한 간사한(?) 생각8 |
2015-06-28 | 180 | |
2042 |
오늘부터 버스, 전철 등의 요금이 올랐는데...4 |
2015-06-27 | 152 | |
2041 |
시행착오를 통해 배운 내용을 글로 설명하는 건 쉽지 않군요2 |
2015-06-26 | 132 | |
2040 |
마이클 잭슨 서거 6주년을 맞으며6 |
2015-06-25 | 165 | |
2039 |
장마 그리고 한 세대 동안의 짧은 기억2 |
2015-06-24 | 135 | |
2038 |
만타인 슈슈3 |
2015-06-24 | 300 | |
2037 |
혹시 방치형 게임을 해 보셨나요?5 |
2015-06-23 | 442 | |
2036 |
자다가 귀신(??)을 만난 경험8 |
2015-06-22 | 176 | |
2035 |
2013년 에어버스 A350 테스트 비행 영상2 |
2015-06-21 | 194 | |
2034 |
[죠죠의 기묘한 모험] 50일의 여정, 드디어 끝나다!3
|
2015-06-21 | 281 | |
2033 |
요즈음 윤리적인 작품을 찾고 있습니다5 |
2015-06-20 | 186 | |
2032 |
진작 공부좀 제대로 할 걸6 |
2015-06-19 | 130 | |
2031 |
1990년대 초 트랜스월드항공 안전수칙 영상2 |
2015-06-18 | 165 | |
2030 |
양말인듯 양말 아닌 양말같은 반양말3 |
2015-06-18 | 160 | |
2029 |
요 근래 갑자기 목이 아픕니다.3 |
2015-06-17 | 126 | |
2028 |
핀란드화와 한국2 |
2015-06-16 | 188 | |
2027 |
동생이 우주인으로 오해받았던 시절...6 |
2015-06-15 | 149 |
2 댓글
마드리갈
2015-06-22 21:22:35
에어버스 A350 XWB도 그렇고, 보잉 787, 봄바르디어 CSeries 등, 컴포지트 소재를 많이 쓴 여객기들은 기수 앞부분이 뭉뚝하고 레이돔 상부가 이전의 기종보다 급각도로 내려오는 경향을 보이네요. 그렇게 설계하면 공역학적인 이점이 많아서일까요? 그게 좀 신기하게 보이고 있어요.
카타르항공의 기체는 착륙할 때 위험할 뻔 했네요. 근처에 새가 날아다니다 기체와 충돌해도 안 이상할만큼 접근했어요. 버드스트라이크가 안 일어나서 천만다행이예요.
SiteOwner
2015-06-24 22:13:45
A350은 보잉 777을 직접 타겟으로 잡는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800과 900은 777-200계열, 1000은 777-300계열을 겨냥한 것같고, 이미 777-300계열이든 A350-1000이든 이미 여객수송력이 747의 초기형의 것을 넘어섰다보니 확실히 이것들을 주력으로 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제 4발기는 그냥 역사 속으로 사라지려는 걸까요. A340의 회생가능성은 완전히 없어 보입니다. 게다가 747-8은 앞으로 3년, A380은 5년 뒤 추가주문이 없으면 생산이 종료될 것으로 보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