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imnews.imbc.com/20dbnews/history/1991/1853399_6097.html
이 당시만 해도 우리나라는 비교적 단순한 부품을 만드는 데에 그쳤지만 현재는 보잉 787의 주요 부품에 참여할 정도로 기술력이 향상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미츠비시 중공업이, 중국에서는 COMAC이 여객기를 자체생산하는데 우리나라는 아직 갈 길이 먼 감이 있습니다.
농업은 모든 산업의 기초입니다. 农业是所有产业的基础。La agricultura es la base de todas las industrias.
Agriculture is the foundation of all industries. L'agriculture est le fondement de toutes les industries.
목록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2024-09-06 | 276 | |
공지 |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
2024-03-28 | 195 | |
공지 |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
2024-03-05 | 219 | |
공지 |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613
|
2020-02-20 | 3889 | |
공지 |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2
|
2018-07-02 | 1022 | |
공지 |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2 |
2013-08-14 | 6009 | |
공지 |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
2013-07-08 | 6624 | |
공지 |
오류보고 접수창구107 |
2013-02-25 | 12128 | |
167 |
생각해보니 스타크래프트 2는 사놓고 하질 않고 있군요7 |
2013-03-23 | 187 | |
166 |
파이널판타지 1을 하고 있습니다.2 |
2013-03-23 | 185 | |
165 |
오랜만에 5시 칼기상을 했군요1 |
2013-03-23 | 283 | |
164 |
고래는 골치가 아파오기 시작했습니다4 |
2013-03-23 | 209 | |
163 |
음... 설정이라...2 |
2013-03-23 | 165 | |
162 |
참 제가 호구처럼 보이나 봅니다.6 |
2013-03-23 | 243 | |
161 |
아버지의 군생활1 |
2013-03-23 | 217 | |
160 |
예전에 내린 커피 한 잔4 |
2013-03-22 | 304 | |
159 |
매번 듣는 소리지만....2 |
2013-03-22 | 153 | |
158 |
대포의 귀환 GA '블리처'1 |
2013-03-22 | 235 | |
157 |
기운이 없군요1 |
2013-03-22 | 174 | |
156 |
어머! 이건 질러야만해!7 |
2013-03-22 | 295 | |
155 |
이야 제대로 큰일 날 뻔 했네요,2 |
2013-03-22 | 165 | |
154 |
1991년 당시에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뉴스입니다.4 |
2013-03-22 | 246 | |
153 |
요즘은 향수를 쓰고 있어요.6 |
2013-03-22 | 320 | |
152 |
처음으로 동시접속회원 10명 진입!!5
|
2013-03-22 | 209 | |
151 |
3월 24일 락과 재즈를 듣는 방송 안내8 |
2013-03-22 | 225 | |
150 |
오늘 다른 대학 스키동아리를 만났어요.7 |
2013-03-22 | 306 | |
149 |
100곡 그것은 아무것도 아니다.2 |
2013-03-21 | 246 | |
148 |
도대체 차베스를 빨아서 뭐하려고?;;;21 |
2013-03-21 | 433 |
4 댓글
마드리갈
2013-03-22 16:37:20
통칭 제공호로 불리는 F-5E/F 경전투기의 조립생산에 뒷얘기가 좀 있어요.
원래 미국이 넘겨주려고 했던 것은 링-템코-보우트(Ling-Temco-Vought, 약칭 LTV)의 A-7 Corsair II 공격기 생산라인이었다고 하는데, 이것이 박정희 대통령 시해사건으로 백지화된 이후, 노스롭의 F-5E/가 도입되었어요. 둘 다 모두 훌륭한 항공기인 건 분명해요. 원형은 1950년대에 등장했고, 이 설계는 현재 미 해군이 운용중인 F/A-18 호넷 계열의 기원이 되기도 해요.
항공산업은 숱한 시행착오를 두려워해서는 안 되는 산업이예요.
그래서 현장에서 적극적인 실험을 많이 해야 하는데, 정책입안자들은 결과물을 빨리 내놓기를 바라기만 할 뿐 그것을 투자가 아닌 낭비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니까요.
일본의 경우는 이미 20세기 전반의 항공산업 노우하우, 고비용을 감수한 국내생산 고집, 그리고 YS-11로 대표되는 걸출한 민항기 등의 결과물 등이 있어요. 게다가 중국은 소련시대의 항공기 무단복제, 소련에서의 독립 이후 가난에 허덕이는 우크라이나의 기술 도입 및 면허, 무면허 생산 등으로 노우하우를 축적하고 있어요. 양국은 내수시장이 크기까지 하죠. 한국과는 상황이 여러모로 다른데, 이것을 이기려면 결국 고품질로 가야 하고 연구개발에 더 집중해야 해요.
그런데 정책입안자들은 그걸 모르는 건지...
트릴리언
2013-03-22 16:40:52
우리나라의 위정자들이 시행착오를 가장 두려워하는 사람들 아녔나요.. 돈이 아깝다고..
마드리갈
2013-03-22 17:56:57
네, 맞아요.
1969년 12월 11일에 일어난 하이재킹 미수사건 당시의 그 기종이 맞아요.
위키피디아에서는 사건 제목을 Korean Air Lines YS-11 hijacking으로 하고 있어요.
처진방망이
2013-03-22 16:51:49
YS-11기 하니 생각나는 사건이 있는데, 1960년대에 북한 간첩이 대한항공기를 하이재킹할 당시의 기종이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