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to content
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짜 인문학의 위기란 이런 것 같습니다

SiteOwner, 2020-12-13 22:01:14

조회 수
137

일단 지금은 간단히 쓰겠지만...
여기저기서 인문학의 위기를 운운하는데, 일부러 보고도 외면하는지 정말 몰라서 그러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현대에 당면한 인문학의 위기가 정녕 무엇인지는 하나같이 대답하지 않는 것 같군요.

나름대로 생각을 해 보니, 진짜 인문학의 위기란 이렇게 정리가능하겠습니다.
인간의 마음과 생각 그 자체에 대한 이해를 하지 않고, 의제된 사고의 틀 속에서 인간을 해석하려는 데에서 그 모든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아닌가. 일단 그렇게 결론을 내렸습니다.
누가 쓴 고전을 읽었고 누가 연주한 음악을 듣고 이런 것도 중요합니다만, 그건 어디까지나 부차적인 문제에 지나지 않다고 봅니다. 인간 그 자체에 대한 이해 없이 인간을 이해하려 하니 예측이 나왔다 하면 빗나가고, 그 빗나간 예측에 인간을 탓하는 악순환이 발생하고 그렇습니다.

사실 이것은 오늘날의 시사현안 하나에도 아주 밀접히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택문제 관련이 그렇습니다. 왜 집을 사려고 하는지, 그리고 사유재산에 대한 인간의 경험의 소산이 어떻게 축적되었는지를 정책결정권자들이 이해하지 않으려 하는 것 같습니다. 원인이야 어떻든 간에 이것은 결과적으로 인문학의 결핍이 초래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SiteOwner

Founder and Owner of Polyphonic World

2 댓글

대왕고래

2020-12-26 22:15:40

사람 사는 세상에서 "얘가 왜 이러려고 하는지"를 파악하지 않고 탁상공론으로만 해결하려고 한다는 게 문제가 된다는 거네요.

탁상공론이 편하긴 하죠. 근데 직접 제대로 조사하지 않으면 정확하지 않은 = 틀린 답이 나올 수 밖에 없어요.

그냥 답만 내면 되면 세상일이 다 쉽겠지만 그렇지가 않죠.

SiteOwner

2020-12-27 12:56:50

그렇습니다. 탁상공론은 아무리 그 안에서는 정밀하다고 하더라도 일단 전제가 잘못되어 있으니까 뭘 집어넣어도 언제나 틀린 결론밖에 낼 수 없는 것입니다. 사실 여러 예측기법이 언제나 정확한 판단으로 이어진다고 장담하지는 못하지만, 유독 각종 극단주의 사상만 실패만 잔뜩 하고 성공하지는 못하는 것도 바로 전제가 잘못되었고, 그 잘못된 전제를 인간에 대한 본질적인 깊은 이해는 멀리하고 특정 관념 속의 인간상에서 찾으니까 그렇게 되는 것입니다.


사람은 단지 무엇인가의 존재만을 중시하지 않습니다. 존재하는 사물과 자신과의 관련성이 특히 중요합니다. 바로 그래서 사유재산이 생기고 재산권이라는 개념이 등장합니다. 이것을 부정한 결과는 국제적으로는 세계최초 및 최대의 공산주의 공산국가인 소련의 해체, 그리고 국내적으로는 부동산 문제에 기반한 민심이반. 사실 지금도 꽤 늦었습니다만, 인간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가 없는 발상에 유예된 인간의 이해심은 이미 바닥나기 직전입니다. 더 늦다가는 페어니히퉁(Vernichtung), 즉 예의 발상에 대한 완전부정이 일어날 것입니다. 이미 카운트다운도 진행중입니다.

Board Menu

목록

Page 83 / 30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SiteOwner 2024-09-06 272
공지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SiteOwner 2024-03-28 195
공지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SiteOwner 2024-03-05 216
공지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

613
  • update
마드리갈 2020-02-20 3888
공지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

2
  • file
마드리갈 2018-07-02 1021
공지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

2
SiteOwner 2013-08-14 6009
공지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하네카와츠바사 2013-07-08 6624
공지

오류보고 접수창구

107
마드리갈 2013-02-25 12128
4343

한반도 최초의 운석충돌구 발견

2
마드리갈 2020-12-18 142
4342

컨스트럭티콘, 어셈블!

4
  • file
마키 2020-12-17 159
4341

군가 "진짜사나이" 를 매번 틀리는 원인의 안쪽

2
SiteOwner 2020-12-16 167
4340

연일 추운 날씨 속에서 생각나는 것들

마드리갈 2020-12-15 137
4339

구글은 당신을 검색합니다!!

4
마드리갈 2020-12-14 240
4338

진짜 인문학의 위기란 이런 것 같습니다

2
SiteOwner 2020-12-13 137
4337

돌죽을 드디어 한번 깼네요.

2
대왕고래 2020-12-12 156
4336

열심히 일한 게 죄가 되기도 하나 봅니다

2
SiteOwner 2020-12-11 123
4335

러시아의 공중지휘기가 정비중에 털렸다?!

2
마드리갈 2020-12-10 134
4334

감사장을 받았습니다.

2
국내산라이츄 2020-12-09 136
4333

초음속 비행의 역사를 쓴 척 예거의 영면

2
SiteOwner 2020-12-08 152
4332

베란다 밖으로 음식쓰레기를 왜 버려...

2
마드리갈 2020-12-07 139
4331

주말의 창작활동 이야기

4
  • file
시어하트어택 2020-12-06 148
4330

소행성탐사선 하야부사 2의 귀환성공

9
  • file
마드리갈 2020-12-06 184
4329

문물의 세대교체에 대한 오류로 본 전기차 환상

4
SiteOwner 2020-12-05 170
4328

요즘 들어 24년 전이 자꾸 생각납니다

2
SiteOwner 2020-12-04 178
4327

지금도 기억나는 단편 하나

4
Lester 2020-12-03 167
4326

Double Jeopardy - 미국의 기술자산이 연일 퇴장했다

5
마드리갈 2020-12-02 176
4325

결국 올해도 12월이 찾아왔네요

4
마드리갈 2020-12-01 167
4324

또 11월이 끝나가는 시점에 장염이라니...

2
마드리갈 2020-11-30 147

Polyphonic World Forum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